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대희 기자 | 산수음료가 취수 지역의 지하수 고갈이 자사의 영리활동 때문이라는 일부 보도와 관련해 “근거 없는 추측만으로 일관된 잘못된 내용”이라고 반박했다.
산수음료는 1일 “‘지하수는 경기도 남양주시민의 자산이기 때문에 오염되지 않도록 잘 보호하고 지나치게 사용해 고갈을 유발해서는 절대 안 된다’는 일념은 친환경 기업 이전에 생수회사가 가져야 하는 기본적인 환경적 책임”이라고 밝혔다.
산수음료는 “지난 2013년 환경부에서 시행하는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기존 취수정을 늘리지 않고 취수량을 677톤에서 916톤으로 늘렸으며, 당시에 전혀 위법적인 행위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특히 산수음료 측은 환경영향평가와 관련해 “환경청에서 환경영향평가위원회를 구성해 위촉된 기술사 레벨의 전문가들이 회사의 환경영향평가서를 충분히 검토한 후 적정 여부를 확인한다”면서 “연장은 5년 단위로 하며, 영향평가 기간 만료 6개월 전에 다시 환경영향평가서를 제출해 6개월의 심사 기간을 거쳐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처럼 적법한 절차를 밟았음에도 불구하고 추측만으로 ‘허가 없이 관정을 더 설치했을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보도 행태”라고 지적했다.
산수음료 관계자는 해당 보도와 관련한 인터뷰에서도 “계곡물이 흐르지 않는 것은 기후변화로 인해 비가 오지 않기 때문”이라며 “만약 회사의 영향으로 지하수가 줄어 농가에 피해가 있다면, 철저하게 조사를 해봐야 할 문제” 라고 입장을 밝혔다.
산수음료는 “지역주민들과의 관계 유지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지역 주민들을 배려하고 상생하기 위해 주민들과 협약서를 만드는 등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