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박혁진기자] 우리나라 국민 한 사람이 1년간 평균 라면 76개 를 먹어 세계에서 라면 소비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15 가공식품 세분화 현황 면류편’ 보고서를 11일 발표했다.
지난해 기준 국민 1인당 면류 소비량은 연간 13.3㎏이다.
종류별로 유탕면류(라면)가 9천153g으로 전체 소비량의 69%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국수 2천760g, 냉면 961g, 기타면류 163.2g, 파스타류 158.8g, 당면 72.8g 순으로 나타났다.
라면 1봉지를 평균 120g으로 환산 시 국민 1인당 연간 약 76개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라면 소비량에서 베트남(55.1개), 인도네시아(52.8개), 태국(45.3개) 등 면을 많이 먹는 다른 아시아 국가를 크게 앞섰다.
일반 면류는 기업 간 거래(B2B)에서 70%가 팔리는 반면 라면은 대부분인 90%가 소비자 거래(B2C) 시장에서 팔리고 있다.
지난해 라면 소매시장 규모는 1조9천억원으로 분석됐다.
라면 포장 유형별 판매 비중은 봉지라면 65%, 용기라면 35%다.
싱글족과 나들이족 급증으로 간편식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많아지는 추세에 따른 현상으로 농식품부는 분석했다.
올해 라면시장에는 굵은 면발을 내세운 라면, 파스타 식감을 살린 라면 등 면발을 강조한 라면이 잇따라 나왔다.
빨간 국물, 하얀 국물에 이어 국물 없는 라면까지 나와 이제 국물 맛으로 차별화가 어려워져 새로운 화두인 ‘면발’이 등장했다고 농식품부는 설명했다.
10∼40대 남녀 라면 소비자 500명을 조사한 결과, 올해 구매 경험이 있는 라면은 일반 빨간 국물 라면(94.4%)이 가장 많았다.
비벼먹는 라면(79.8%), 굵은 면발 라면(45.6%)도 비교적 구매 비중이 컸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