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전남

“벽화그리기 통한 민·관·학 마을공동체교육 함께 만들어”

마을교육공동체를 통한 지역 환경 개선사업 추진
이혁제 도의원, 목포교육청 교육복지사 및 관계자들에게 감사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김대현 기자 | 

전남도의회 이혁제 예결위원장(더불어민주당, 목포4)은 지난 26일 2021 민·관·학 ‘우리동네 상동이야기’ 벽화그리기에 참석 했다.

 

이날 벽화그리기에는 마을주민들을 비롯해 목포시내 7개교 학생 봉사단, 목포시 교육청 김갑수 교육장, 김종식 목포시장, 김원이 국회의원, 김근재 시의원, 김양규 시의원이 함께했다.

 

이 번 프로젝트는 목포교육지원청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구성된 ‘같이&가치’ 봉사동아리를 주축으로 상동행정복지센터, 상동주공아파트 관리사무소, 반딧불벽화봉사단 등이 마을교육공동체를 통한 지역 환경 개선사업으로 추진됐다.

 

당초에는 목포시 교육청과 상동행정복지센터에서 확보한 1,000여만 원으로 일부 구간을 계획했었으나 전남도의 예산이 덧붙여져 상동 일대 200m구간에서 상동의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묘사하는 대규모의 벽화그리기로 발전했다.

 

이 과정에서 상동을 지역구로 둔 이혁제 의원의 역할이 컸다. 교육위원으로서 목포시 교육청과 목포시 그리고 상동행정복지센터의 가교역할을 하고, 예산확보 등 민·관·학 마을공동체교육을 매끄럽게 실현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혁제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요즘 거버넌스란 말을 많이 쓰는데 이번 행사가 진정한 거번넌스가 아닌가 싶다.”면서 “공동의 목표를 위해 각기 다른 주체가 함께 힘을 모아 완성해 가는 과정이 거버넌스라면 이번 벽화그리기 과정이 그렇다.”고 강조했다.

 

이어, “도청, 시청, 교육청, 학교의 예산을 하나의 사업을 완성하는데 공동으로 사용하는 과정 그리고

이것을 하나로 묶어내는 담당자의 역할이 무척 어려운데 이를 이뤄낸 목포교육청 교육복지사들의 노력이 대단했다”며 관계자들에게 감사했다.

 

 

또 “상동 전역의 담벼락에 상동을 묘사하는 벽화그리기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과 마을공동체가 함께 해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이날 벽화그리기엔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가운데 마을주민, 학생, 공무원 등 100명 이상이

참석해 상동일대가 오랜만에 활기찬 모습을 보였으며 벽화가 완성되면 이 일대를 지나는 학생과 주민들에게 보다 상쾌한 걸음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유럽중앙은행(ECB), 예상 밖 '매파적' 신호…글로벌 증시 출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유럽중앙은행(ECB) 총재의 최근 발언이 시장에 예상치 못한 충격을 던졌다. 지속적인 에너지 가격 상승과 견조한 임금 인상세가 인플레이션 압력을 다시 높이면서, 유럽중앙은행이 이전의 완화적 기조에서 벗어나 '매파적' 신호로 돌아섰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는 글로벌 금융 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쳐 주요 증시가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최근 인플레이션 지표가 당초 예상보다 끈적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에너지 비용과 서비스 부문 임금 상승이 우려스러운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발언은 시장이 기대했던 금리 인하 시점 연기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대신, 오히려 추가적인 금리 인상 가능성까지 열어두는 듯한 태도로 해석된다. 유로존 경기 침체 우려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억제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ECB의 이러한 스탠스 변화는 유로존 국채 금리를 끌어올렸을 뿐만 아니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유로화 강세는 수출 기업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