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제

김연아 오늘밤 복귀전

김연아는 올 시즌 그랑프리 시리즈와 4대륙선수권대회 등 국제 대회를 모두 건너뛰고 이번 세계선수권대회만 준비해 왔다.

김연아는 이 대회에서 쇼트프로그램에 발레곡 '지젤'을, 프리스케이팅에 한국 전통음악을 편곡한 '오마주 투 코리아'를 처음 선보인다.

김연아는 '지젤'에서는 격정적인 사랑과 아픔이 교차되는 감정을 표현하는 데 중점을 뒀고, '오마주 투 코리아'에서는 한국의 전통적인 선율로 역동적인 느낌을 살릴 예정이다.

이미 2009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한 바 있는 김연아는 이번 대회에서 두 번째 우승과 세계랭킹 1위 복귀에 도전한다.

시즌 초반 대회를 통해 프로그램을 점검하고 감각을 끌어올리는 다른 선수들과 달리 13개월 동안 실전 경험을 갖지 않았다는 것은 약점으로 꼽히지만, 김연아는 현지 훈련에서 완벽한 컨디션을 자랑했다.

처음 공개한 쇼트프로그램에서는 한 차례의 실수도 없는 '클린 연기'를 선보였고 프리스케이팅에서도 한 번의 점프 실수를 빼고는 공백을 전혀 느낄 수 없는 완벽한 모습으로 훈련을 마쳤다.

일본 대지진으로 갑작스럽게 대회가 한 달 가까이 미뤄진 상황에서, 오히려 대회에 출전하지 않으며 아껴 뒀던 체력을 바탕으로 더욱 컨디션을 끌어올릴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김연아도 "연습보다 못하면 억울할 것 같다"며 강한 자신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번 대회 쇼트프로그램에서 전체 마지막 순서를 뽑은 김연아는 '동갑내기 맞수' 아사다 마오(21·일본)의 바로 뒤에서 연기한다.

한국 피겨스케이팅 역사상 첫 금메달을 안겼던 지난해 밴쿠버 동계올림픽 이후 처음으로 앞뒤로 연기하게 돼 전 세계 피겨 팬들의 관심을 모을 전망이다.

지난해 세계선수권대회 우승자인 아사다는 대회 직전까지 극심한 컨디션 난조를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자신감이 충만한 김연아의 승리가 예상된다.

그러나 아사다가 28일 훈련에서 조금씩 점프 컨디션을 되찾은 모습을 보인 만큼 방심할 수는 없다.

김연아의 이번 대회는 여러 가지 변화를 겪은 이후 첫 실전이라는 점에서도 관심을 끈다.

지난 시즌을 마치고 김연아는 브라이언 오서(캐나다) 코치와 헤어지고 피터 오피가드(미국) 코치를 새로 선임했다.

일각에선 고난도 점프에 점수를 더 주는 방향으로 채점 규정이 바뀌면서 김연아에게 불리한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연아는 고난도 기술보다는 예술성을 강조하는 쪽에 초점을 맞춰 대회를 준비했다.


저작권자데일리연합.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농촌진흥청, 농림위성 개발 협력으로 '우주 농업 시대' 연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임재현 기자 |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5월 15일, 경남 사천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산업(주)을 방문해 차세대 중형위성 4호(농림위성) 개발 현장을 둘러보고 앞으로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주)은 국내 유일의 완제품 항공기 제작 방위산업체로 다목적 실용위성, 정지궤도복합위성, 차세대 중형위성 1~3호 개발 등 다양한 우주개발 산업에 참여했다. 2019년부터는 농촌진흥청과 우주항공청, 산림청이 공동 추진하고 있는 농림위성(2026년 발사 예정) 개발에 참여해 위성 시스템과 본체, 핵심부품을 개발하고 있다. 이날 방문에서 권재한 청장은 “한국항공우주산업(주)과 협력해 개발 중인 농림위성은 우리나라 농업환경을 주기적으로 관측하는 데 최적화된 위성이다.”라며 “주요 작물의 생육 점검(모니터링), 농·산림 정책 지원, 농업 생산 환경·기반 조사, 국가 통계 생산 등 활용 범위가 매우 넓다.”라고 말했다. 이어 “농림위성의 성공적인 발사와 운영을 위해서는 상호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하고, 농업 분야 후속 위성개발 방향과 상생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