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김재욱 기자 | 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최홍수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가 주최한 "202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 "우수성과 100선"은 국가 발전을 이끄는 과학기술 성과를 널리 알리고, 국민들의 관심을 높이며 과학기술인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올해로 19년째를 맞이한 이 제도는 각 부처에서 추천한 연구개발 성과 중 우수한 사례를 선정한다. 올해는 총 869건의 후보 성과를 대상으로 전문가 100명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의 심사와 대국민 공개 검증을 거쳐 최종 선정됐다. 최홍수 교수는 '자성 나노입자 기반 3차원 세포구체로봇을 이용한 뇌신경 회로 연결 기술'로 기계·소재 분야에서 우수성과로 선정됐다. 이 기술은 자기장(전자석의 힘)을 활용해 나노 크기의 자성 물질이 포함된 세포 집합체(세포구체)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자기장을 이용해 뇌 신경 세포를 전달하고 신경 회로를 연결할 수 있는 "뇌 신경 회로 공학"의 기반을 마련한 연구로, 신경망 복구와 신경 관련 질환 치료 기술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특히, 동물(쥐) 실험 환경에서 자성 물질이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김재욱 기자 | DGIST가 2024년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에서 '우수' 등급에 선정되는 쾌거를 달성했다.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는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연구성과평가법')'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직할기관과 국가과학기술연구회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연구수행의 적절성', '연구성과의 우수성', '연구결과 영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최종 등급(매우우수, 우수, 보통, 미흡, 매우미흡)을 부여하며, 평가결과는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예산의 조정 및 배분에 반영된다. DGIST는 이번 연구사업평가에서 과기정통부 직할기관 중 '우수'등급을 부여받았다. 이는 기관이 가진 고유 임무 및 역할, 책임에 따라 수립한 전략목표(▲ 융복합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 혁신, ▲ 미래산업을 위한 융복합 강점기술 연구, ▲ 성과 확산을 통한 가치 창출)에 대해 괄목할 만한 성과를 달성했음을 인정받았다고 할 수 있다. DGIST 이건우 총장은 "DGIST가 이번 평가에서 '우수' 등급을 달성할 수 있도록 우수한 연구성과 및 계획을 수립해준 구성원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며, "이번 평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김재욱 기자 | DGIS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박경준 교수(학과장)와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김봉훈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가 주최한 "2023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우수성과 100선"은 국가 발전을 견인해 온 과학기술의 역할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고 과학기술인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범부처적으로 우수한 국가연구개발 성과를 선정하는 제도로서, 올해로 18년 차를 맞이했다. 올해는 각 부‧처‧청이 선별․추천한 총 854건의 후보 성과를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 100명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위원장 박재민 교수, 건국대) 평가와 대국민 공개검증을 거쳐 최종 100건의 우수성과를 선정(최우수성과 총 12건 포함)했다. DGIST 박경준 교수와 김봉훈 교수는 각각 "사이버-물리 융합공격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방어하는 지능형 네트워크 기술"과 "인터넷 및 사물인터넷 보안 시스템을 위한 자기조립 나노기술"을 개발한 연구성과로 "정보·전자 분야"에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박경준 교수의 "사이버-물리 융합공격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방어하는 지능형 네트워크 기술"은 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