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최홍수 교수. [사진제공=DGIST]](http://www.dailyan.com/data/photos/20241252/art_17349135329219_8e87c9.jpg)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김재욱 기자 | 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최홍수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가 주최한 "202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
"우수성과 100선"은 국가 발전을 이끄는 과학기술 성과를 널리 알리고, 국민들의 관심을 높이며 과학기술인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올해로 19년째를 맞이한 이 제도는 각 부처에서 추천한 연구개발 성과 중 우수한 사례를 선정한다. 올해는 총 869건의 후보 성과를 대상으로 전문가 100명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의 심사와 대국민 공개 검증을 거쳐 최종 선정됐다.
최홍수 교수는 '자성 나노입자 기반 3차원 세포구체로봇을 이용한 뇌신경 회로 연결 기술'로 기계·소재 분야에서 우수성과로 선정됐다. 이 기술은 자기장(전자석의 힘)을 활용해 나노 크기의 자성 물질이 포함된 세포 집합체(세포구체)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자기장을 이용해 뇌 신경 세포를 전달하고 신경 회로를 연결할 수 있는 "뇌 신경 회로 공학"의 기반을 마련한 연구로, 신경망 복구와 신경 관련 질환 치료 기술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특히, 동물(쥐) 실험 환경에서 자성 물질이 포함된 세포 집합체를 특정 신경 회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이를 기능적으로 작동하게 한 점이 주목받았다. 이는 뇌의 손상된 신경 회로를 다시 연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최홍수 교수는 "최고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어 매우 기쁘다. 앞으로도 관련 분야의 연구를 지속하며 더 큰 성과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최홍수 교수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및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IEEE, 전기전자공학자협회)의 정회원(Fellow)으로 선정됐다. DGIST는 연구자들이 혁신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구 인프라를 확충하고,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연구 환경을 제공하는 등 다각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국내외 협력을 통해 세계적인 대학으로 도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