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연합 남윤정기자] 경기도 시흥 시화방조제 토막살인 피해자가 7일 중국동포 여성으로 밝혀지면서 국내 중국동포 사회가 또다시 술렁이고 있다. 박춘풍 사건이 일어난 지 5개월이 채 안 돼 잔혹한 살인사건에 중국동포가 또 연루된 소식이 알려지자 충격과 걱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분위기이다.
조선족이 많이 사용하는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범인을 향한 비난과 함께 동포사회 전체에 불똥이 튀지 않을까 우려하는 글들이 줄을 이었으며 특히 유력한 용의자인 피해자의 남편 역시 중국동포로 알려지면서 후폭풍을 걱정하는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왜 이런 일이 자꾸 벌어지는지 모르겠다", "이러다 (한국에서) 쫓겨나는 게 아닌지 걱정이다" 등의 의견부터 '일부 나쁜 사람들 때문에 결국 착하게 사는 사람들이 피해를 본다"는 등의 반응도 쉽게 나타나고 있다.
일부 글들에선 2012년 오원춘 사건과 지난해 박춘풍 사건 때처럼 중국동포가 연루된 사건이 터질 때마다 동포사회 전체를 매도하는 분위기에 울분을 터뜨리기도 했다. 한 중국동포 누리꾼은 "지난 몇 년간 재한 조선족의 강력범죄율은 한국인보다 적었다"며 "조선족 범죄가 유독 대서특필되면서 우리까지 같이 손가락질 받아야 하는 현실이 화가 난다"고 억울해했다. 실제로 7일과 8일 주요 포털사이트 관련 기사에는 "조선족 추방해라", "동포라고 할 수 없다", "조선족 범죄에 대한 특별관리가 필요하다" 등 동포사회 전반을 향한 비난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자정의 목소리도 나왔다. 한 중국동포는 "중국에서 문제가 있던 사람들이 한국에 와서도 범죄를 저지른다"며 "비자 관리를 더 엄격히 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냈다. 무조건적인 비난에 앞서 동포사회의 현실을 좀 더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앞서 경찰이 시화방조제 부근에서 차례로 발견된 토막 시신의 신원을 확인한 결과 2013년 8월 입국한 중국동포 한모(42·여) 씨로 밝혀졌다. 경찰은 한 씨에 대한 미귀가 신고가 접수되지 않은 점 등을 토대로 한국에 체류하는 남편을 유력한 살인 용의자로 보고, 소재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