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호 기자] 고령의 독거노인 가구중 전체 노인중 23%로 나타났으며 노인중 10.9%가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보건복지부가 31일 발표한 2014 노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도시거주 노인 비율은 76.6%로 10년 전보다 8.7% 증가했고, 80세 이상 노인 비중도 2004년 16.2%에서 20.6%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 가구 비중도 같은 기간 20.6%에서 23%로 증가했다. 부부 또는 1인 노인가구가 증가한 이유로는 자녀의 결혼(32.7%), 자녀가 다른 지역에 있어서(20.6%), 개인생활 향후(15.5%) 등이 주된 이유로 집계됐다.
노인들이 가장 부담스러운 것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주거관련 비용(40.5%)이 가장 많이 차지했고, 보건 의료비(23.1%), 식비(16.2%), 경조사비(15.2%) 등도 부담이 된다고 답변했다.
노인의 28.9%가 생활비 보충과 용돈 마련 등을 위해 일을 하고 있었다. 종사 업종은 단순 노무직(36.6%), 농림축산어업(36.4%) 위주였다. 노인 9.7%는 일하지는 않지만 근로의욕을 가지고 있었다.
89.2%의 노인이 만성질환이 있고 1인당 평균 2.6개의 질환을 갖고 있었다. 주로 고혈압(56.7%)·관절염(33.4%)·당뇨병(22.6%) 순으로 많았다.
남성 노인 흡연율(33.6→23.3%) 및 음주율(52.9→48%)은 감소했다. 10년 전과 비교해 운동실천율(58.1%), 건강건진율(83.8%)은 30%p 가량 크게 증가했다.
응답자 중 31.5%가 인지기능 저하자였고 33.1%가 우울증상이 있었다.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남성노인보다는 여성 노인에게 우울증상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여가생활은 대부분이 TV시청(82.4%)를 손꼽았다. 이어 산책, 독서·종교책보기, 화초·텃밭 가꾸기, 화투·고스톱, 등산, 음악 감상 순으로 조사됐다
노인 3%가 집안내 화재, 가스누출 등 안전사고를 경험했고 9.9%가 학대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학대 경험률이 높았다는 분석이다.
조사대상 10.9%가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그 중 자살을 시도한 응답자는 12.5%로 집계됐다.
자살을 생각한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40.4%), 건강문제(24.4%), 외로움 (13.3%), 가족·친구와의 갈등 및 단절이(11.5%), 배우자 등 사망(5.4%) 등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향후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및 치매관리기본계획 수립시 활용할 방침이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