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현의 강도는 그리 세지 않았지만 그 안에 담긴 의미의 수위는 낮지 않았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31일 정부의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에 대해 "약속을 어긴 것"이라고 비판함에 따라 정국에 만만찮은 파장이 일고 있다. 박 전 대표는 또 "동남권 신공항은 필요하고, 계속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해 신공항 건설을 차기 대선 공약으로 제시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어찌 보면 예견된 내용이었다. 두 가지 점에서다. 박 전 대표는 정치적 신뢰를 누구보다 강조해 왔고 자신의 트레이드마크로 삼아 왔다. 또 2007년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 당시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공약으로 내건 이후 여러 차례 그 필요성을 얘기해왔다. 때문에 정부의 신공항 백지화에 대한 박 전 대표의 두 가지 측면에서의 비판은 자연스럽게 이어진 결론이었다.
하지만 발언이 나오기까지는 고심이 적지 않았다. 박 전 대표로선 자신의 최대 정치기반이자 지역구의 이해가 달린 문제이다. 또 유력한 차기 대선주자로서 국민적 시선까지 염두에 둬야 한다.
또 평소 강조해온 정치적 신뢰라는 점에서만 보자면 대선 공약 파기를 강하게 비판해 마땅하지만
이명박 대통령과의 관계 악화가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도 고려해야 했다. 말하자면 박 전 대표에게 신공항 문제는 여러 딜레마가 중첩된 사안이었다. 그래서 측근들도 며칠간 머리를 싸맸다고 한다.
결국 날이 선 표현을 최대한 자제하는 대신 할 말은 모두 담는 방식을 택했다. 수위를 조절하려는 노력이 발언 곳곳에서 묻어났다. 세종시 수정 논란 때 등장했던 '강도론'이나 18대 총선 공천 당시 친박계의 대거 낙천 이후 '나도 속고, 국민도 속았다'는 격한 표현과 비교해 보면 그 차이가 드러난다.
또 동남권 신공항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필요하다는 점을 뒷받침하기 위해 발언 시간의 상당 부분을 물류량 확대 추이나 공항 건설 기간 등 경제적 논리 설명에 할애했다. 측근들은 박 전 대표의 발언 직후 "이 대통령과 각을 세운 것으로 해석하지 말아 달라"는 부연설명을 하기도 했다. 대변인 격인 이정현 의원은 "정책적인 문제로서, 다른 복선이나 정치적 의도는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