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나' 했던 영남권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 등은 허탈감을 감추지 못했다. 며칠 전부터 흘러나온 백지화론이 결국 사실로 확인되자 신공항 입지평가는 요식행위에 불과했다며 격한 표현도 쏟아냈다.
그동안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을 놓고 신공항 유치 경쟁을 벌여온 부산과 대구.경북.경남.울산은 한목소리로 정부를 성토하며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하겠다고 밝혀 후폭풍이 클 전망이다.
부산은 가덕도 신공항을 독자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였고, 대구.경남 등은 밀양 신공항을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역 정치권도 반발하고 있어 신공항을 둘러싼 갈등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 "반드시
김해공항 독자이전 하겠다" =
허남식 부산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제대로 된 평가를 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신공항 건설이 부적합하다며 무산시킨 것은 어떤 이유로든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허 시장은 "신공항은 24시간 운행 가능한 안전한 공항이어야 하며, 그 최적지는 가덕도 해안밖에 없다"며 "시민의 지혜와 힘을 모아 김해공항의 가덕도 이전을 반드시 이뤄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인호 바른공항건설시민연대 공동회장은 "신공항 백지화를 기정사실화해놓고 평가단을 꾸려 가덕도와 밀양을 둘러보고 나서 평가를 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며 "이는 지역 주민을 우롱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김영주 서부산시민협의회 사무처장은 "신공항 입지만 봤을 때 가덕도가 월등히 뛰어남에도 밀양이 점수가 더 높았다"며 신공항 백지화를 정치적인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신정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은 "대통령의 공약에 반영된 국책사업을 백지화시킴으로써 정책의 신뢰성이 크게 훼손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신공항을 둘러싼 지역 간 갈등의 골이 큰 후유증을 낳을 것을 우려했다.
한나라당 부산시당은 정부의 결정을 규탄하며
국토해양부 장관의 경질을 요구했다. 또 "부산 독자적으로 김해공항의 가덕도 이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부산 연제구가 지역구인 박대해 의원은 "한나라당 탈당도 불사하겠다"며 반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