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비싼 정액요금 NO” 스마트폰 요금제

#사례. 고등학생인 김모군(17세)은 최근 월 1만2000원씩 내는 저가형 스마트폰 표준요금제에 가입, 사실상 휴대폰을 공짜로 사용하고 있다. 웹서핑이나 동영상 서비스는 무선인터넷 요금이 들지 않는 무선랜(Wi-Fi)을 활용하기 때문에 한 달 요금은 음성통화 요금을 합쳐 2만원 정도밖에 나오지 않는다.

이처럼 버스요금 정도로 싸다는 일명 '버스폰'을 구입하는 고객이 점차 늘고 있다.

29일 방송통신위원회와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월 3만5000∼9만5000원을 내는 스마트폰 정액요금제 대신 이군처럼 표준요금제 등을 활용하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16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이동통신사가 정액요금제로 정해놓은 음성통화, 문자메시지, 무선인터넷 용량을 쓰는 대신 약 1만2000원 정도인 기본료만 내고 필요에 따라 각 서비스를 조절해서 사용하는 사람들이다.

표준요금제를 이용하면 기본료와 함께 음성통화는 1초에 1.8원, 무선인터넷은 일반적인 웹서핑을 이용할 때 1킬로바이트(pH)당 0.5원이 든다. 한 달에 음성통화를 100분 사용하고 무선인터넷은 10메가바이트(?)를 이용한다면 기본료에 추가로 1만5800원을 합쳐 2만7800원만 내면 된다.

스마트폰은 무선랜으로 인터넷을 무료로 쓸 수 있고, 무선랜 지역에서 무선인터넷전화로 같은 서비스 가입자끼리 무료로 통화할 수도 있다. '카카오톡' 같은 무료 메신저서비스로 문자메시지 요금도 줄일 수 있다.

문제는 표준요금제를 이용하면 각종 보조금이 확 줄어 스마트폰을 살 때 10만원대밖에 지원받을 수 없다는 것. 최근 온라인쇼핑몰이나 인터넷카페를 중심으로 불고 있는 '버스폰 열풍'이 이런 보조금 문제도 해결해주고 있다.

현재 온라인에서는 나온 지 2∼3개월밖에 안 된 저가형 스마트폰을 1년 약정, 표준요금제로 사실상 공짜에 살 수 있을 만큼 버스폰들이 넘쳐나고 있다. 매월 신형 스마트폰들이 쏟아져 나오다 보니 이동통신사들의 재고정리 시점도 꽤 단축되고 있는 것이다.

알뜰하게 스마트폰을 쓰려는 소비자들의 요구와 이동통신사들의 정액요금제 사이에 격차가 워낙 크다 보니 요금제를 다양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이동통신사들은 월 5만5000원 이상 정액요금제에 가입했을 때 무선인터넷을 무제한 쓸 수 있게 하고 있다. 표준요금제로 웹서핑을 100?만 이용해도 요금이 5만원에 달한다. 두 요금제 사이 완충 역할을 해줄 요금제들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세대의 벽을 허물고, 삶의 품격을 더하다… 삼성노블카운티, 개원 24주년 맞아 공동체 축제 열어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류승우 기자 | 2001년 문을 연 삼성노블카운티가 24주년을 맞았다. 단순한 고급 주거 공간을 넘어 지역사회와 세대가 함께 어우러진 ‘공동체적 시니어 타운’으로 성장해온 이곳은, 이번 기념행사를 통해 ‘함께 나이 든다는 것’의 의미를 다시 묻고 있었다. “노년의 삶도 존엄하게”… 클래식 무대에 담긴 위로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삼성노블카운티는 지난 9일, 개원 24주년을 기념해 입주자와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무대에는 성악가 백재은, 곽민섭, 김수한, 김준교, 신엽 등 국내 클래식 음악가들이 출연해 품격 있는 공연을 펼쳤다. 피아니스트 김남중과 색소폰 콰르텟 ‘에스윗’이 더한 연주는, 무대와 객석을 넘나들며 참석자들의 마음을 어루만졌다. 문화 향유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고령층에게 ‘공연의 감동’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삶의 활력을 회복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아이들과 어르신이 함께 쓴 ‘공감의 시’ 이날 행사에는 단지 구성원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와 아이들도 함께 참여했다. ‘온세대 글쓰기·그림그리기 대회’는 입주자·지역주민·어린이들이 같은 주제로 작품을 만들어내며 세대 간의 간극을 자연스럽게 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