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 고등학생인 김모군(17세)은 최근 월 1만2000원씩 내는 저가형
스마트폰 표준요금제에 가입, 사실상 휴대폰을 공짜로 사용하고 있다. 웹서핑이나 동영상 서비스는 무선인터넷 요금이 들지 않는 무선랜(Wi-Fi)을 활용하기 때문에 한 달 요금은 음성통화 요금을 합쳐 2만원 정도밖에 나오지 않는다.
이처럼 버스요금 정도로 싸다는 일명 '버스폰'을 구입하는 고객이 점차 늘고 있다.
29일
방송통신위원회와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월 3만5000∼9만5000원을 내는 스마트폰 정액요금제 대신 이군처럼 표준요금제 등을 활용하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16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이동통신사가 정액요금제로 정해놓은 음성통화, 문자메시지, 무선인터넷 용량을 쓰는 대신 약 1만2000원 정도인 기본료만 내고 필요에 따라 각 서비스를 조절해서 사용하는 사람들이다.
표준요금제를 이용하면 기본료와 함께 음성통화는 1초에 1.8원, 무선인터넷은 일반적인 웹서핑을 이용할 때 1킬로바이트(pH)당 0.5원이 든다. 한 달에 음성통화를 100분 사용하고 무선인터넷은 10메가바이트(?)를 이용한다면 기본료에 추가로 1만5800원을 합쳐 2만7800원만 내면 된다.
스마트폰은 무선랜으로 인터넷을 무료로 쓸 수 있고, 무선랜 지역에서 무선인터넷전화로 같은 서비스 가입자끼리 무료로 통화할 수도 있다. '
카카오톡' 같은 무료 메신저서비스로 문자메시지 요금도 줄일 수 있다.
문제는 표준요금제를 이용하면 각종 보조금이 확 줄어 스마트폰을 살 때 10만원대밖에 지원받을 수 없다는 것. 최근 온라인쇼핑몰이나 인터넷카페를 중심으로 불고 있는 '버스폰 열풍'이 이런 보조금 문제도 해결해주고 있다.
현재 온라인에서는 나온 지 2∼3개월밖에 안 된 저가형 스마트폰을 1년 약정, 표준요금제로 사실상 공짜에 살 수 있을 만큼 버스폰들이 넘쳐나고 있다. 매월 신형 스마트폰들이 쏟아져 나오다 보니 이동통신사들의 재고정리 시점도 꽤 단축되고 있는 것이다.
알뜰하게 스마트폰을 쓰려는 소비자들의 요구와 이동통신사들의 정액요금제 사이에 격차가 워낙 크다 보니 요금제를 다양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이동통신사들은 월 5만5000원 이상 정액요금제에 가입했을 때 무선인터넷을 무제한 쓸 수 있게 하고 있다. 표준요금제로 웹서핑을 100?만 이용해도 요금이 5만원에 달한다. 두 요금제 사이 완충 역할을 해줄 요금제들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