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21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PR Newswire

난징 장베이 신구, 전 세계 인재 유치에 나서

난징, 중국 2025년 9월 21일 /PRNewswire/ -- 9월 20일, 노벨상 수상자, 학술계 인사, 청년 과학자, 신진 연구개발(R&D) 전문가들이 난징 양쯔강 유역에 모여 과학과 산업 혁신을 통합하는 방법을 모색했다. 세계청년과학자포럼(World Youth Scientist Forum) 난징 세션에서 장베이 신구는 신구 청년 발전 및 인재 집적을 위한 20가지 조치(20 Measures for Youthful Development and Talent Aggregation in the New Area, 이하 '조치')를 공식 발표하면서 전 세계 인재 유치를 위한 포문을 열었다.


이번 20개 조치는 인재 유치와 육성을 위한 유기적이고 완벽하게 연결된 지원 시스템을 제시하며, 다양한 인재군과 그들의 성장•발전 수요를 아우르는 맞춤형 지원을 담고 있다. 우선 주요 과학 시설 건설을 주도하는 선도 과학자에게는 최대 1억 위안의 지원금이 제공된다. 최고 수준의 전문가는 연구 성과의 산업화 추진을 위해 최대 3천만 위안의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주요 혁신 플랫폼은 전임 또는 겸임 직책을 신설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역할을 지원하는 각 프로젝트에 최대 200만 위안의 지원금이 지급된다. 고급 인재를 채용하는 기업은 연간 최대 100만 위안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대학-지역 공동 임명' 이니셔티브에 참여하는 국내외 고급 인재에게는 연봉의 30%에 해당하는 급여 보조금이 5년간 제공된다.

이번 조치들은 자원을 혁신과 기업가 정신에 집중적으로 투입하기 위해 '선사용 후지불' 방식의 개념 검증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이 프로그램은 개념 검증과 시험 규모 이니셔티브 성숙화를 위해 프로젝트당 최대 500만 위안을 할당한다. 프론티어 프로젝트는 '보조금+지분' 방식으로 지원되며, 단일 플래그십 프로젝트에 최대 3천만 위안의 자금을 제공한다. 과학기술 보조금을 받은 인재 주도 기업은 성(省)급 이상 수상 시 최대 2000만 위안의 매칭 펀드를 지원받고, 국가급 파괴적 기술 목록에 선정되면 프로젝트당 최대 1000만 위안을 지원받을 수 있다. 매년 구(区) 단위 기금은 150개 이상의 프로젝트에 투자하며 각 프로젝트는 평균 500만 위안 이상의 자금을 지원받는다.

또한 이번 정책은 인재의 권리 보호를 강화하고 주택, 의료, 교육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강력한 조치들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장베이 신구는 더욱 경쟁력 있는 혁신 및 기업가 생태계를 구축해, 다양한 인재들이 혁신에 집중하며 함께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탄소배출권 가격 급등, 기업 ESG 경영 전략 수정 불가피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유럽탄소배출권(EU ETS) 가격의 급등이 국내 기업들의 ESG 경영 전략 수정을 불가피하게 만들고 있다. 유럽의 탄소중립 목표 강화와 석탄발전 감소 등의 영향으로 탄소배출권 가격이 급등하면서, 국내 기업들은 수출 경쟁력 약화와 탄소 감축 비용 증가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특히 에너지 다소비 업종을 중심으로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의 영향이 크다. 철강, 시멘트, 화학 등의 업종은 생산 과정에서 많은 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탄소배출권 구매 비용이 급증하면서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탄소 감축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하지만 단기간 내에 탄소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기술적 한계와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많은 기업들은 탄소배출권 구매를 통해 규제를 준수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탄소배출권 시장의 가격 변동성을 더욱 심화시키고, 기업들의 불확실성을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정부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 정부는 탄소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