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경상남도는 18일(현지시간) 몽골 울란바토르 칭기스칸 호텔에서 ‘경남 소비재 수출상담회’를 열고, 도내 중소기업들과 함께 현지 바이어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수출 마케팅을 펼쳤다.
이번 상담회에는 경남 지역 중소기업 10개사가 참가해 식품, 화장품 등 5개 이상의 품목을 선보였고, 몽골 바이어 31개사가 참여했다. 이 가운데 도내 8개 기업이 현지 바이어 8개사와 총 700만 달러 규모의 수출의향서를 체결했다. 특히, 식품 및 항노화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박완수 도지사는 이날 행사에서 “미국의 고율 관세 등 불확실한 대외 무역환경 속에서 이번 계약은 매우 의미 있는 성과”라며, “K-컨텐츠의 흥행으로 농식품, 화장품 등 한국 제품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실질적인 구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몽골은 러시아, 중국과 인접한 전략적 요충지로 배후 시장이 넓고, 향후 성장 가능성도 크다”며, “한국의 몽골 수출액도 매년 증가 추세인 만큼 경남도 다양한 품목으로 지속적인 교류 확대를 이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행정적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경남도는 이번 행사를 통해 중앙아시아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하는 몽골에서 도내 소비재의 우수성과 경쟁력을 알리고, 수출 품목의 다변화를 모색했다. 행사에는 코트라 울란바토르 무역관장, 현지 바이어 등 50여 명이 참석해 상담 및 상품 전시회를 통해 경남 제품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몽골은 전체 인구의 60% 이상이 34세 이하로, 글로벌 문화와 트렌드에 대한 수용도가 높다. 프랜차이즈 산업 등 한국 관련 소비문화의 성장세도 뚜렷하며, 현재 몽골 내 한국계 프랜차이즈 시장 점유율은 50%를 넘는다.
2024년 기준 한국의 대(對)몽골 수출액은 5억 8천만 달러이며, 이 중 경남의 수출액은 1천만 달러로 전체의 0.02% 수준에 그친다. 그러나 몽골은 제조업 기반이 약해 공산품 수입 의존도가 높고, 한국문화에 대한 선호가 꾸준해 향후 경남 기업의 수출 확대 가능성이 큰 시장으로 평가된다.
한편, 경남대표단은 공식 일정 첫날인 18일, 울란바토르에 위치한 이태준 기념관을 방문해 헌화하고 독립운동 정신을 기리는 시간을 가졌다.
박완수 지사는 헌화 후 “몽골 울란바토르 중심지에 기념관을 만든 것은 굉장히 의미가 크다”며, “몽골 정부의 적극적인 협조에 감사드리고, 이곳이 한·몽 양국 관계를 더욱 깊게 이어갈 수 있는 중요한 공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태준 선생은 경남 함안 출신으로, 몽골에서 의료 활동과 항일운동을 펼친 인물이다. 그의 뜻을 기리는 이태준 기념공원은 한·몽 우호의 상징으로 조성됐으며, 이태준 기념관은 최근 리모델링을 통해 전시·교육 기능이 강화된 현대적 기념관으로 재개관했다.
박 지사는 19일 울란바토르시를 공식 방문해 시장과 면담을 갖고, 산업·관광·인적교류 등 양 지역 간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