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생성형 AI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AI 윤리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면서, 국제적인 차원에서 책임 있는 AI 개발과 활용을 위한 규범 마련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저작권 문제, AI에 의한 편향 및 차별 문제, 개인정보보호 위반 등의 윤리적 문제는 사회 전반에 걸쳐 심각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단일 국가의 노력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국제적인 공조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주요 국가와 국제기구들은 AI 윤리 규범에 대한 논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이미 AI 법안을 마련하여 강력한 규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미국 역시 정부 차원의 가이드라인 발표와 연구 지원을 통해 AI 윤리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하지만, AI 기술의 발전 속도가 워낙 빨라 국제적인 합의 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각국의 기술 수준과 사회적, 문화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국가가 동의할 수 있는 보편적인 규범을 마련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기술 발전에 따라 규범의 수정 및 보완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점도 과제이다.
앞으로 AI 윤리 규범 논의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AI 기술의 혜택을 누리면서 동시에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술 전문가, 정부 관계자, 시민 사회 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소통이 필수적이다. 특히, 개발 초기 단계부터 윤리적 고려 사항을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며, AI 시스템의 투명성과 설명 가능성을 높이는 노력도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생성형 AI의 책임 있는 개발과 활용을 위한 국제적 협력은 시대적 요구이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절실하다. 이는 단순한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인류 사회의 미래와 직결되는 중대한 과제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