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PR Newswire

호주 치과의사들, 쿤밍 글로벌 심포지엄에서 스마티의 하악 재배치 장치 기술에 찬사

임상 전문가들, S8-SGTB 장치가 치료 결과를 가속하고, 환자 만족도를 높이며, 제2급 부정교합에 대한 비침습적 해결책을 제공한다고 호평

쿤밍, 중국 2025년 7월 12일 /PRNewswire/ -- 스마티 덴티-테크놀로지(Smartee Denti-Technology)가 최근 중국 쿤밍에서 열린 글로벌 심포지엄(Global Symposium)에서 호주의 치과 전문가와 파트너를 초청해 하악 재배치 기술과 그 임상 적용 사례를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특히 제2급 골격성 부정교합을 위한 혁신적인 S8-SGTB 장치가 주목을 받았다. 호주 임상의들은 이 장치가 정형적(orthopedic) 및 치아 교정적(orthodontic) 효과를 제공하는 동시에, 치료 기간이 짧고 환자 친화적 디자인이라며 찬사를 보냈다.

Prof. Gang Shen present in Smartee GS Seminar
Prof. Gang Shen present in Smartee GS Seminar

시드니 월드타워 치과(Dental Clinic @ World Tower Sydney)의 노크스 킴(Dr. Knox Kim) 원장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과거에는 성장기 환자의 제2급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투명 교정 시작 전 트윈블록 장치를 사용해야 했다. 개선을 확인하는 데 최소 3개월에서 6개월이 걸렸다. 그러나 스마티를 사용하는 경우, 환자의 아래턱이 앞으로 밀려나는 것을 느끼기까지 단 1~2주밖에 걸리지 않았다. 그리고 환자와 부모에게 전후 사진을 보여주었을 때, 이렇게 빠른 반응과 개선에 매우 만족했다."

블로섬 덴탈 케어(Blossom Dental Care)의 제니 J. 송(Dr. Jenny J. Song) 치과의는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기존의 기능성 교정장치나 고정식 장치에 비해, Smartee GS는 하악 전진과 치아 이동을 동시에 유도하는 지능적인 설계를 갖추고 있다. 이로 인해 전체 치료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결과에 대한 예측 가능성도 향상됐다."

시드니의 사브리나 리우(Dr. Sabrina Liu) 일반 치과의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번 세미나는 매우 놀라웠다. Smartee GS 투명 교정장치를 사용해 하악 재배치에 성공한 다양한 사례를 보면서, 투명 교정장치가 해낼 수 있는 치료 효과에 대한 인식이 완전히 바뀌었다. 더 많은 호주 치과 의사들이 이 기술을 익혀 환자 치료에 적용하길 바란다."

Attendees in Smartee GS seminar
Attendees in Smartee GS seminar

스마티 하악 재배치 기술의 핵심에는 S8-SGTB가 있다. 이는 제2급 골격성 부정교합을 치료하도록 설계된 투명하고 비침습적 장치로, 턱 수술이나 발치의 필요성을 최소화한다. 성장기 환자와 성인 환자 모두를 위해 설계된 이 장치는 정형적 기능과 치아 교정적 기능을 하나의 투명교정 장치에 통합한 것이 특징이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하악 재배치 및 치아 배열을 동시에 유도
  • 해부학적 교합 스플린트와 고정 구조를 통해 관절 위치의 안정적 전진 유지
  • 발치 또는 수술의 필요성 최소화
  • 부피가 큰 기능성 장치에 비해 눈에 띄지 않고 편안한 디자인

S8-SGTB는 복잡한 골격성 교정 케이스에서도 임상적으로 효과적이면서 환자 중심의 치료 경로를 제공하려는 스마티의 의지를 보여주는 대표 기술이다.

스마티 하악 재배치 기술에 대한 내용은 https://www.smarteealigners.com/products/smartee-gs-mandibular-repositioning-aligners/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효과와 한계 분석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전국을 덮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하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냉방시설 확대, 무더위쉼터 운영 등의 지원책을 마련했지만, 실제 효과와 한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현재 정부의 폭염 대책은 주로 무더위쉼터 확대 운영과 취약계층에 대한 냉방비 지원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무더위쉼터 접근성이 낮은 지역이나,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으로 쉼터 이용이 어려운 취약계층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냉방비 지원의 경우 지원 대상 및 규모가 제한적이며, 실제 지원금이 생활고에 처한 취약계층에게 충분한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고령층이나 장애인 등 특정 취약계층의 경우, 단순한 냉방비 지원 외에 더욱 적극적인 돌봄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폭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 정책 외에도 지역사회 차원의 노력이 중요하다. 주민센터, 종교시설, 복지관 등 지역 내 유관기관들이 취약계층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돕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폭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