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구름조금인천 22.8℃
  • 맑음수원 24.5℃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전주 26.7℃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여수 19.9℃
  • 구름조금제주 18.9℃
  • 맑음천안 24.9℃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배너

충북

증평 홍삼포크, 전국 미식가들의 ‘삼삼한’ 선택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이성용 기자 | 충북 증평군의 대표 특산물인 ‘홍삼포크’가 삼겹살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전국 미식가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군은 10여 년 전, 인삼 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 돼지 사육을 시도했다.

 

“홍삼 부산물에 사포닌이 풍부한데, 사람이 먹기엔 부담스러우니 돼지에게 급여하면 어떨까?”라는 기발한 발상에서 출발한 실험이었다.

 

6개월간 사료 1t당 홍삼 부산물 2kg을 혼합해 급여한 결과, 돼지고기는 더욱 부드럽고 쫄깃해졌으며, 특유의 잡내 없이 담백한 풍미를 자랑하는 명품 육질을 갖추게 됐다.

 

이를 바탕으로 2005년 ‘사미랑 홍삼포크’라는 상표를 등록하고, 2008년에는 홍삼 부산물을 활용한 돼지 사육법을 특허까지 등록하며 본격적인 브랜드화에 나섰다.

 

군은 매년 가을 열리는 인삼골축제에서 ‘홍삼포크 삼겹살 대잔치’ 이벤트를 개최하며 홍삼포크를 널리 알리고 있다.

 

특히, 지난 3월 3일 삼겹살데이를 맞아 증평 34플러스센터에서 열린 ‘삼삼한 홍삼포크’ 행사에서도 그 인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이른 아침부터 인파가 몰렸고, 준비된 홍삼포크는 오전 중 완판됐다.

 

추가로 준비한 2차 물량마저 조기에 소진되며 홍삼포크의 뜨거운 인기를 증명했다.

 

현장 시식 행사에서 고기를 맛본 방문객들은 “구워서 그냥 먹어도 고소하고 잡내가 없다”, “일반 삼겹살보다 탄력이 좋고 육즙이 풍부하다”며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재영 군수는 “증평 홍삼포크는 우리 군이 자부심을 갖고 내놓은 특산물”이라며, “맛과 품질에서 확실한 차별성을 갖춘 만큼 앞으로도 더욱 많은 분들에게 알리고 브랜드 가치를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삼겹살이라는 명칭이 자리 잡기 전, ‘세겹살’로 불리던 돼지고기는 그 기원에 대한 단서가 거의 없어 유래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개성 유래설에 따르면, 인삼으로 유명한 개성 사람들이 세겹살을 인삼과 함께 즐겨 먹으며 그 맛을 ‘삼삼하다’고 표현한 데서 ‘삼겹살’이라는 명칭이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다.

 

만약 이 설이 사실이라면, 인삼의 본고장 증평에서 탄생한 ‘홍삼포크’야말로 삼겹살의 진정한 원조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삼겹살의 새로운 기준을 찾고 있다면, 증평 홍삼포크가 정답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제27회 담양대나무축제, 죽녹원 일원서 개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전국 유일의 대나무를 테마로 한 생태문화축제, 제27회 담양대나무축제가 2일 담양 죽녹원 일원에서 화려한 개막을 알렸다. 올해 축제는 ‘담양 초록에 물들다 – 대나무의 향연 with Daenamoo’를 주제로, 지역 고유의 생태자원과 예술 콘텐츠가 어우러진 체류형 축제로 기획됐다. 황금연휴와 맞물리며 첫날부터 관광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 오전에는 본격적인 축제 개막 전 꽃탑광장에서 청소년 그림대회가 열렸으며, 오후 4시 30분부터는 마칭밴드와 함께하는 개막 퍼레이드가 거리의 분위기를 달궜다. 오후 5시에는 가수 이찬원, 지창민 등이 무대에 올라 분위기를 고조시켰고, 밤 8시 50분 드론 라이트쇼가 하늘을 수놓으며 축제의 서막을 화려하게 장식했다. 군은 올해 축제를 체류형 축제로 만들기 위해 낮 시간대 죽녹원 입장료를 지역 상품권으로 환급하고, 야간에는 무료 개장해 관광객들의 체류를 유도한다. 팝페라, 국악, 대피리 공연 등도 죽녹원 보조무대에서 이어질 예정이다. 축제는 오는 6일까지 계속되며, 3일에는 군민의 날 기념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