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예술통신

첫 방송 D-4! 최웅X전승빈X진주형X김진우, ‘스캔들’에 휩싸일 비주얼 군단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박해리 기자 | 배우 최웅과 전승빈, 진주형, 김진우가 안방극장 여심 저격에 나선다.

 

오는 17일 첫 방송 예정인 KBS 2TV 새 일일드라마 ‘스캔들’(연출 최지영 / 극본 황순영 / 제작 오에이치스토리)은 세상을 가지고 싶었던 여자와 복수를 위해 모든 것을 건 또 한 명의 여자가 벌이는 미스터리 격정 멜로를 다룬 작품이다.

 

앞서 흥미진진한 관계성이 돋보이는 단체 포스터와 파격적인 스토리를 예고하는 하이라이트 영상으로 뜨거운 관심을 모은 가운데, 오늘(13일) ‘스캔들’의 보석함이 열렸다.

 

공개된 스틸에는 어디서도 보지 못할 ‘스캔들’에 휩싸일 최웅(서진호 역)과 전승빈(나현우 역), 진주형(김석기 역), 김진우(나승우 역)의 압도적인 비주얼이 담겨 있어 눈길을 끈다.

 

극 중 배우 지망생에서 슈퍼스타로 거듭난 서진호 캐릭터를 연기한 최웅은 완벽한 슈트핏을 자랑, 보는 이들의 시선을 단숨에 사로잡는다.

 

그의 활짝 웃는 미소는 보고만 있어도 마음이 따뜻해지며 심장을 요동치게 만든다.

 

훈훈한 비주얼로 여심을 저격한 마성의 남자 최웅이 세 여자인 한채영(문정인 역), 한보름(백설아 역), 김규선(민주련 역)과 격정 멜로를 예고해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전승빈은 정인의 잔혹한 실체를 담은 드라마 ‘포커페이스’ 연출자 나현우로 변신한다. 범접할 수 없는 매력과 완벽한 피지컬, 연기력까지 모두 갖춘 그가 한보름과 어떤 케미를 선보일지 기대감을 자극한다.

 

그런가 하면 반박 불가 미남 진주형은 정인 엔터테인먼트 기획 본부장 김석기 캐릭터로 열연을 펼친다. 진주형의 강렬한 눈빛과 눈부신 비주얼은 보는 이들에게 짜릿한 희열을 선사하고 있다. 민주련을 마음에 담고 있는 그가 온미남의 정석을 보여주며 안방극장을 달아오르게 할 예정이다.

 

날렵한 턱선을 뽐낸 김진우는 ‘포커페이스’ 조감독 나승우로 분한다. 나승우로 분한 김진우는 멋쁨이 흘러넘치는 아우라를 발산한다. 한번 빠지면 헤어 나올 수 없는 출구 없는 매력을 지닌 김진우의 모습이 벌써 궁금하다.

 

이렇듯 ‘스캔들’을 이끌어갈 미남 군단 최웅, 전승빈, 진주형, 김진우는 각각 지니고 있는 다채로운 매력으로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여기에 이들은 얽히고설킨 관계성으로 짜릿한 카타르시스까지 안길 전망이다.

 

비주얼 맛집 KBS 2TV 새 일일드라마 ‘스캔들’은 오는 17일 월요일 저녁 7시 50분 첫 방송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국내 기업, AI 반도체 시장 진출 가속화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국내 기업들이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이 이어지면서,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AI 반도체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고성능·저전력 시스템 반도체 기술을 바탕으로 시장 경쟁력 확보에 주력한다. 특히,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를 활용한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어 향후 시장 점유율 확대가 예상된다.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기술력을 기반으로 AI 반도체 시장에 진출하여, 고용량·고속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AI 학습 및 추론에 필요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특화된 제품을 출시하며,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이러한 국내 기업들의 적극적인 행보는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의 경쟁 심화를 예고한다. 미국 엔비디아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 기업들은 자체적인 기술력과 생산 인프라를 바탕으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