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미국 대학우주연구협회, 카이스트와 서울대를 회원으로 영입

콜럼비아, 메릴랜드주, 2020년 5월 29일 -- 한국 유수의 두 대학교인 한국과학기술대학교(카이스트)와 서울대학교(SNU)가 미국 대학우주연구협회(USRA)에 회원으로 가입함으로써 동 협회의 회원 대학은 모두 113개가 되었다. USRA의 현 대학 회원들이 2020년 5월 4일 양교의 영입 결정을 내렸다.  

USRA 회원 자격은 교수가 우주 혹은 항공우주 연구 분야에 상당한 공헌을 하고 한 가지 이상의 관련 분야에서 박사 학위를 주는 학과 및 연구 논문 과정에 실질적인 공헌을 한 경우에 주어진다. 회원들은 USRA 이사회 멤버의 선출과 동 협회의 정관 제정을 통해 USRA 운영에 참여한다.

USRA 회장 겸 CEO인 제프리 A. 아이작슨 박사는 "이 유수의 대학교들을 회원으로 영입하게 되어 기쁘다"면서 "양교의 전문 지식을 통해 우주 관련 과학 및 기술 분야에서 우리가 갖고 있는 집단적인 힘이 세계적으로 확대된다. 우리 협회에 대한 양교의 적극적인 관여와 공헌에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한국과학기술대학교(카이스트) – 1971년에 설립된 카이스트는 한국 최고의 과학 및 기술 대학교이다. 동교의 인공위성연구소는 1992년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을 개발했으며 지구 관측 및 우주 연구 용 인공위성들을 개발, 발사 및 운영해왔다.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는 레이저 통신, 지구 영상 촬영, 대기 측정 및 편대 비행을 위해 큐브샛을 통한 복수의 우주 임무를 계획하고 있다.

서울대학교(SNU) – 1946년에 설립된 SNU는 우주 과학, 발사체 추진 및 인공위성 기술의 학제간 연구가 포함된 강력한 항공우주공학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 우주 시스템을 위한 이 학제간 프로그램은 발사체, 우주용 소재, 인공위성과 그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우주 리스크 분야의 교육 및 연구 역량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SNU는 국내 대학교와 연구소들로 구성된 우주 교육 네트워크를 이끌고 있다.

USRA
미국 정부의 요청과 전미과학아카데미의 후원을 통해 1969년 설립된 대학우주연구협회(USRA)는 우주 관련 과학, 기술 및 엔지니어링을 발전시킨다는 임무를 띤 비영리 단체이다. USRA는 연방 예산을 사용하여 과학 연구소와 시설들을 운영하며 기타 중요한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USRA는 대학 커뮤니티에 관여하며 자체의 과학 운영진, 혁신적인 연구개발과 프로젝트 관리 전문지식을 활용한다. USRA에 대한 상세 정보는 에서 입수할 수 있다.  

PR 담당자:
Suraiya Farukhi, Ph.D.

410-740-6224; 443-812-6945 

로고 -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개인정보위, 파파존스 이어 써브웨이도 조사…'고객정보 노출' 취약점 반복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대영 기자 |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1일 샌드위치 프랜차이즈 써브웨이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여부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6일 한국파파존스㈜에 대한 조사에 이어 닷새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두 업체 모두 홈페이지 주소(URL)의 숫자만 변경해도 다른 고객의 정보가 노출되는 동일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개인정보위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써브웨이 홈페이지에서 URL 뒤 숫자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별도의 인증 없이 다른 고객의 연락처, 주문 내역 등이 확인되는 정황이 파악됐다"며 "구체적인 유출 경위와 피해 규모, 안전조치 이행 여부 등을 집중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조사에 들어간 한국파파존스 역시 유사한 '파라미터 변조' 방식의 취약점이 드러났다. 회사 측은 조사 착수 하루 전인 지난달 25일, 홈페이지 소스코드 관리 미흡으로 인해 2017년 1월 이후의 고객 주문정보(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가 외부에 노출됐다고 신고했다. 개인정보위는 두 업체 모두에 대해 ▲유출 경위 및 피해 규모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이행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특히 한국파파존스의 경우, 개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