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1.2℃
  • 맑음강릉 4.3℃
  • 맑음서울 0.7℃
  • 맑음인천 1.1℃
  • 맑음수원 1.0℃
  • 맑음청주 3.4℃
  • 구름많음대전 4.1℃
  • 구름조금대구 5.9℃
  • 흐림전주 4.9℃
  • 맑음울산 4.9℃
  • 구름많음광주 5.9℃
  • 맑음부산 6.1℃
  • 구름조금여수 5.9℃
  • 구름많음제주 10.3℃
  • 맑음천안 2.9℃
  • 맑음경주시 5.7℃
  • 맑음거제 5.7℃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100개국 이상의 대표들, 모스크바 'Open Innovations' 포럼에 참가

모스크바, 2019년 10월 24일 -- 제8회 모스크바 국제 혁신 개발 포럼 'Open Innovations'이 모스크바에서 개최됐다. 이 포럼은 러시아에서 매년 열리는 기술 창업 행사다.


The VIII Moscow International Forum of Innovative Development 'Open Innovations'


100개국 이상에서 온 655명의 연설자가 150개 논의에 참여했으며, 160개가 넘는 스타트업이 잠재적인 파트너와 투자자에게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21~23일에 20,000명 이상이 이 포럼에 참석했다.

총회에서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가 '지능 경제학: 디지털국가의 세 가지 딜레마(Intelligent Economics. Three dilemmas for the digital nation)'라는 주제로 연설하면서, 디지털 변혁이 사회, 정부 및 기업에 부여하는 주요 과제를 소개했다. 그가 언급한 주요 과제는 개인 데이터의 사이버보안, 생산 자동화로 인한 노동 시장의 구조조정, 혁신 산업의 법적 규제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총리는 1년 뒤면 Skolkovo가 10주년을 맞이한다고 상기시키면서, 2020 Open Innovations 방문객은 '지난 10년 동안 거둔 성과와 앞으로의 과제'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포럼의 첫날 주제는 '디지털 인간(Digital Man)'이었다. 전문가들은 기술이 인간 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사안을 논의했다. 둘째 날의 '지능 경제(Intelligent Economy)'에서는 산업 디지털화와 기타 산업, 기업, 기술 창업 부문을 다뤘다. 마지막으로 의학, 인공 지능, 보험, 산업 및 소매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 경향을 다루는 '미래 기술(Future Technologies)' 논의 세션이 열렸다.

이 포럼에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해당 인사로는 맥심 아키모프 러시아 연방정부 부총리, 막심 오레슈킨 경제개발부 장관, 세르게이 소뱌닌 모스크바 시장, 빅토르 벡셀베르크 Skolkovo 재단 이사회 의장, 베르너 바우만 Bayer 이사회 회장, 닉 보스트롬 옥스퍼드대학교 인류미래연구소장, 퍼니마 코치카 구글 플레이 이사 및 기타 전문가들이 있다.

'Open Innovations' 포럼의 틀 내에서 Bloomberg Agency와 Skolkovo 재단이 조직한 세계적인 기술 회의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빨리: 스마트 도시(Sooner Than You Think: Smart Cities)'와 인공 지능 시스템에 관한 실용적인 사업 포럼인 RAIF(Russian Artificial Intelligence Forum, 러시아 인공 지능 포럼)도 열렸다. 이 사흘 동안 러시아와 국제 기업, 재단 및 개발 협회가 참여한 가운데, 29건의 계약이 체결됐다.

국제 포럼 'Open Innovations'는 러시아 연방 경제개발부, 모스크바시 정부, Skolkovo 재단, Russian Venture Company, 기반시설과 교육 프로그램 펀드, 혁신진흥펀드, 국립 개발기업 VEB.RF에 의해 공동 조직됐다.

사진 -  
The VIII Moscow International Forum of Innovative Development 'Open Innovations'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윤석열 전) 대통령 책임론, 내란재판 논의 통해 본 리더십의 그림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윤석열 전직 대통령의 내란 관련 책임론이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부에서는 그 책임의 경중을 두고 내란죄와 같은 중대한 법적 심판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날선 공방이 오가는 상황이다. 이러한 논의 중심에는 한 나라의 최고 지도자였던 인물의 행적이 남기는 사회적 파장과 그에 대한 책임 있는 대응의 부재가 더욱 사회적 공분을 사고있다. 첫째, 책임론에 관한 근본적 문제는 전직 대통령이 퇴임 후에도 국가와 국민에 대한 무형의 책임감을 어떻게 이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우리 사회의 합의 부족에 있다. 대통령의 자리는 단순한 행정 수반을 넘어 국가의 통합과 미래를 책임지는 상징적 존재다. 따라서 그의 언행 하나하나는 내란재판중에도 국민 통합과 국론 분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표면적인 법적 공방 이면에는 전직 지도자로서 마땅히 보여야 할 책임 있는 리더십의 부재가 거론된다. 과거 사례들을 살펴보면, 위기 상황이나 사회적 갈등 속에서 지도자의 책임 있는 자세는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고 사회 통합을 이끄는 중요한 동력이었다. 그러나 내란재판에서 보여주는 전직 대통령의 책임 떠넘기기식 행보가 오히려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