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Xpress Money의 FLEX, 금융업계와 협력 통해 서비스 강화

- 사업솔수션 FLEX, 은행부터 NBFI 및 온라인 송금 업체들과 파트너쉽 형성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2019년 10월 21일 -- 송금 및 금융 서비스 산업에 종사하는 국제 기업들이 피내블러(Finablr) 기업인 Xpress Money 를 파트너로 선정했다. 그 목적은 Xpress Money의 국경 간 송금 서비스를 활용하고, 점차 증가하고 있는 간편 송금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있다. Abu Dhabi Commercial Bank (ADCB), Commercial Bank of Dubai (CBD), Kuwait Finance House (KFH), RAKBANK, World Remit and Ficanex (Canada)와 같은 유명 금융 업체들이 고객에게 신규 송금 채널을 제공하고, 새로운 지역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기 위해 Xpress Money의 사업 솔루션 FLEX를 이용하고 있다.

독자적인 API를 사용하는 호환성 솔루션 Xpress Money FLEX 는 기존 송금 허가증을 보유한 금융 서비스 및 송금 업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은행, NBFC, 신생 핀테크 기업 또는 새로운 시장으로 진출하거나 지불 옵션을 확장하고자 하는 결제업체들은 이달 27~30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Money2020에서 피내블러 부스 4305를 방문해 Xpress Money의 솔루션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다.

Xpress Money CEO Sudhesh Giriyan은 FLEX 솔루션과 관련하여 "자사가 세계 곳곳에서 핵심 파트너십에 계속 투자하는 가운데 FLEX는 자사의 성장 전략을 촉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최상의 사업 경험을 제공하는 자사의 전문지식과 역량은 자사가 지난 몇 년간 구축한 각 파트너십의 토대로 마련됐다"라고 언급했다.

또한 그는 "자사의 더 큰 목적은, 가장 편리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최대의 고객 기반에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관련 업체들이 하나의 산업으로서 서로 협력하고, 전문지식을 공유함으로써 진정한 가치를 창출한다면, 비로소 이 목적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라고 덧붙였다.

세계에서 가장 믿을 수 있는 송금 업체 중 하나인 Xpress Money는 1999년 영국에서 설립되었으며, 이후 170개가 넘는 국가로 진출해 전례 없는 성장세를 기록했다. Xpress Money는 지난 19년간 편리하고 보안성이 높으며, 안전한 송금으로 유명한 세계적인 송금 브랜드라는 입지를 다져왔다. Xpress Money는 6890억 달러 규모의 송금 산업시장(출처: 세계은행)이 지닌 잠재력을 이용하며 자사 송금 솔루션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신뢰받는 기관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해왔다.

로고 -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개인정보위, 파파존스 이어 써브웨이도 조사…'고객정보 노출' 취약점 반복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대영 기자 |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1일 샌드위치 프랜차이즈 써브웨이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여부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6일 한국파파존스㈜에 대한 조사에 이어 닷새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두 업체 모두 홈페이지 주소(URL)의 숫자만 변경해도 다른 고객의 정보가 노출되는 동일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개인정보위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써브웨이 홈페이지에서 URL 뒤 숫자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별도의 인증 없이 다른 고객의 연락처, 주문 내역 등이 확인되는 정황이 파악됐다"며 "구체적인 유출 경위와 피해 규모, 안전조치 이행 여부 등을 집중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조사에 들어간 한국파파존스 역시 유사한 '파라미터 변조' 방식의 취약점이 드러났다. 회사 측은 조사 착수 하루 전인 지난달 25일, 홈페이지 소스코드 관리 미흡으로 인해 2017년 1월 이후의 고객 주문정보(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가 외부에 노출됐다고 신고했다. 개인정보위는 두 업체 모두에 대해 ▲유출 경위 및 피해 규모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이행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특히 한국파파존스의 경우, 개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