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제

평창올림픽서 중국 ‘주사고진(朱砂古镇)’ 떴다


평창올림픽 공동집행위원장인 강원도 최문순 지사가
홍보관을 방문했고 제사를 남겼다



 

주사고 공원의 대표적 경관중의 하나인 선녀봉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홍보관에 중국을 대표하는 귀주성 주사고진 주사고진(朱砂古镇)관광지홍보관이 특별한 주목을 끌면서 매일 많은 관객들의 방문을 받고 있다.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에 위치한 평창페스티벌파크에 36평방메터짜리 전시장 주사고진 관광지는 유일한 중국관으로서 매일 천여명의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25일 평창동계올림픽 홍보관 개관식 날 강원도 최문순 지사가 직접 주사고진 홍보관을 방문해 귀주성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한다는 제사를 써주었다. ‘주사고진 홍보관에서는 한국인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온 선수, 심사위원, 응원단 및 평창을 찾은 관광객들이 주사고진의 자연경관을 담은 사진을 보면서 절찬을 아끼지 않았다. 한편 주사고의 상품들도 관광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동인길양(吉阳)관광개발유한회사 채성군 부총경리는 이번 홍보활동을 통해 주사고진을 관광하려고 미리 예약한 한국 관광객만 7000여명에 달하며 주사상품에 대한 많은 구매예약도 받았다.”고 기쁘게 소개한다.

주사고진은 귀주성 동인시 만산구에 위치한 국가광산공원이다. 경면주사광물의 채굴을 위주로 하던 이곳은 페허로 된 동굴을 관광지로 개발한지 2년이 된다. 동굴 전체의 길이가 무려 970키로메터로 지하만리장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공원은 중국의 생태관광의 모델로 유명하다. 황화수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광물 경면주사는 수은의 가장 중요한 광석이며 고급 약재로도 쓰이는데 만산구는 주사고 개발을 이용해 해방후 중국의 첫번째 행정특구로 구쏘련의 국가채무 80%를 상환하는 등 역사에 대한 공헌으로 주은래 총리로부터 애국주사란 영예를 받았다.

이번 주사고 홍보관의 운영책임을 맡은 동인한화여행사 한국지사장 이성재 대표는 평창올림픽을 통하여 주사고진 관광지를 전세계에 알리고 주사상품을 해외로 진출하려는 등 목적에 도달하였다.”고 하면서 오는 39일부터 열리는 패럴림픽(残奥会)의 홍보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표했다

/안승권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한은, 기준금리 동결…물가 안정 우선, 성장 둔화 우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8일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와 부합하는 결과이나, 최근 경제 성장 둔화 우려와 물가 상승률 둔화세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으로 분석된다.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은 물가 안정에 대한 한국은행의 강한 의지를 반영한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다소 둔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며, 핵심 물가의 상승 압력도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은행은 향후 물가 흐름과 경제 성장 전망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수출 부진과 내수 위축이 지속되면서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하향 조정되고 있으며, 기업 투자도 감소하고 있다. 금리 인상이 경기 침체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금리 동결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향후 경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것임을 시사했다. 물가 안정과 경기 성장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이며, 향후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여 금리 인상 또는 추가적인 동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