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20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국제

티키 연간 인플레이션 73.5% 기록

연간 소비자물가지수(CPI) 24년 만에 최고치 경신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원소명 기자 | 터키 뉴스를 전하는 영자신문 Dailysabah는 5월 터키의 연간 소비자물가지수(CPI)가 24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전했다.

 

터키 통계연구소(TurkStat)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CPI)는 4월의 70%에서 5월까지 12개월 동안 73.5% 상승했다. 이는 1998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한편 지난달 터키의 교통비는 전년 동월 대비 107.62% 올랐는데, 이는 지난달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를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그리고 식료품·비알코올 음료 가격이 91.63%, 가구·가정용 설비 가격이 82.08% 상승했다.

 

터키가 유독 상대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가 높긴 하지만 이는 터키만의 문제가 아니다. 코로나19 사태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 그리고 기후변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국가마다 조금씩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 인플레이션 때문에 경제에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영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9%로 40년 만에 가장 가파른 상승폭을 보였는데, 이는 독일(7.4%), 프랑스(4.8%) 등 주요 7개국(G7)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치이다.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8.3%를 기록했다. 그리고 이란과 스리랑카의 소비자물가지수도 각각 40%와 30%를 기록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과 국내 경제 영향 분석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발표된 미국의 경제지표들이 예상보다 강하게 나타나면서 연준이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러한 전망은 국내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유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국내 기업들의 투자 심리가 위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금리 민감도가 높은 기술주와 성장주 중심으로 주가 하락 압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원달러 환율 또한 상승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미국과 한국의 금리 차이가 확대될수록 자본이 미국으로 유입되면서 원화 가치가 하락할 수 있다. 환율 상승은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연준의 금리 인상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단순히 부정적이라고만 단정 지을 수는 없다. 금리 인상은 인플레이션 억제 효과를 가져오고, 장기적으로는 경제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