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기업 64%, 필수 자격요건 있어

기업 10곳 중 6곳은 신입사원 채용 시 요구하는 필수 자격요건이 있으며, 이를 충족시키지 못했을 경우 81.9%의 기업이 감점이나 탈락의 불이익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기업 인사담당자 242명을 대상으로 ‘신입사원 채용 시 필수 자격요건’에 대해 조사한 결과, 64.1%가 ‘있다’라고 답했다.

그렇다면 기업에서 제한하는 자격요건은 무엇일까?

‘학력’을 제한하는 기업이 82.6%로 가장 많았다. 제한 학력으로는 ‘고졸 이상’(39.8%), ‘초대졸 이상’(35.9%), ‘학사 이상’(23.4%), ‘석사 이상’(0.8%) 순이었다.

다음은 ‘전공 제한’으로 61.3%의 기업이 제시하고 있었다.

3위는 49.7%가 선택한 ‘나이 제한’이었으며, 제한 연령은 여성이 평균 28세, 남성은 29.7세로 나타났다.

‘졸업연도’를 제한하는 기업은 25.2%였다. 자세히 살펴보면 ‘졸업 예정자에 한해’(25.6%), ‘1년 미만 졸업자 포함’(25.6%), ‘3년 미만 졸업자 포함’(20.5%)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어학 제한’이 있는 기업은 17.4%였다. 그 중 59.3%(복수응답)가 ‘토익 점수 보유자’에 한해 지원이 가능했고, ‘JPT, HSK 등 기타 외국어 점수 보유자’(37%), ‘토익 스피킹 등 말하기 시험 점수 보유자’(11.1%) 순으로 이어졌다.

‘학점 제한’이 있는 기업(16.8%)의 제한 점수는 평균 3.1 이상(4.5 만점 기준)이었다. 자세히 살펴보면 ‘3.0 이상’(61.5%), ‘3.5 이상’(30.8%), ‘2.5 이상’(7.7%)이 있었다.

그렇다면 필수 자격요건을 갖추지 못한 지원자는 어떻게 평가할까?

절반이 넘는 51.6%의 기업이 ‘감점 처리’를 하고 있었고, ‘무조건 탈락’은 30.3%, ‘관계 없다’는 18.1%였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채용 시 제시한 자격요건은 평가요소일 뿐 아니라 업무상 필요한 사항인 경우가 많아 취업 후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입사지원을 하기 전에 꼼꼼하게 챙기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세대의 벽을 허물고, 삶의 품격을 더하다… 삼성노블카운티, 개원 24주년 맞아 공동체 축제 열어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류승우 기자 | 2001년 문을 연 삼성노블카운티가 24주년을 맞았다. 단순한 고급 주거 공간을 넘어 지역사회와 세대가 함께 어우러진 ‘공동체적 시니어 타운’으로 성장해온 이곳은, 이번 기념행사를 통해 ‘함께 나이 든다는 것’의 의미를 다시 묻고 있었다. “노년의 삶도 존엄하게”… 클래식 무대에 담긴 위로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삼성노블카운티는 지난 9일, 개원 24주년을 기념해 입주자와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무대에는 성악가 백재은, 곽민섭, 김수한, 김준교, 신엽 등 국내 클래식 음악가들이 출연해 품격 있는 공연을 펼쳤다. 피아니스트 김남중과 색소폰 콰르텟 ‘에스윗’이 더한 연주는, 무대와 객석을 넘나들며 참석자들의 마음을 어루만졌다. 문화 향유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고령층에게 ‘공연의 감동’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삶의 활력을 회복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아이들과 어르신이 함께 쓴 ‘공감의 시’ 이날 행사에는 단지 구성원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와 아이들도 함께 참여했다. ‘온세대 글쓰기·그림그리기 대회’는 입주자·지역주민·어린이들이 같은 주제로 작품을 만들어내며 세대 간의 간극을 자연스럽게 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