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최근 7년간 치매 질환자 무려 4.5배 증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형근)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의 ‘2002~2009년 노인성 질환자 진료 추이 분석’결과에 따르면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노인성 질환자는 2002년 대비 205.7%(49만9천명→102만7천명), 총진료비는 419.5%(5,813억원→2조 4,387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에서 진료실인원 255.4%, 총진료비 543.7%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노인성 질환자 전체 의료비 증가는 65세 이상 노인의 의료이용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노인성 질환자의 의료비 추이를 살펴보면, 2004년을 기점으로 해서 총진료비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65세 미만 자보다 65세 이상 자의 기울기가 더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02년에는 65세 미만 자와 65세 이상 자의 총진료비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2005년을 시작으로 두 군의 총 진료비 차이가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총진료비는 그 기울기가 2008년까지 꾸준히 높아지며 증가하다가 2009년에는 증가추세가 다소 완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10만명당 노인성 질환자의 치료유병률을 살펴보면, 2002년에 10만명당 1,039명이 노인성 질환자였던 것이 2009년에는 2,041명으로 약 2배 늘어난 것을 볼 수 있다. 65세 이상 노인에서 치료유병률이 두드러지게 증가였는데, 2002년도에 65세 이상 노인인구 10만명당 6,906명이 노인성 질환자였던 것에 반해 2009년에는 12,711명으로 184.1% 증가하였다. 65세 미만에서도 2002년 대비 2009년도의 치료유병률이 148.0%로 크게 증가하였다.

의료보장 형태별로 10만 명당 노인성 질환자 수를 살펴보면, 2002년에 의료급여가 건강보험에 비해 그 수가 4.4배 많았고, 해마다 그 차이가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2009년에는 4.9배의 차이를 보였다. 노인성 질환의 전체 1인당 진료이용량은 꾸준히 증가하였고, 치매와 파킨슨병의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치매의 증가폭이 2005년을 기점으로 가파르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65세 미만 자에서나 65세 이상 자에서나 같은 양상을 보였다.

연도별 진료실인원은 뇌혈관질환이 가장 많았으나, 2002년 대비 2009년 증가율은 치매가 4.51배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65세 미만에서는 2007년을 기점으로 치매 질환자의 수가 가파르게 증가하였고, 65세 이상인 자에서 2002년 대비 2009년 치매 질환자수의 증가율이 4.98로 나타나 65세 이상에서의 치매질환자 증가가 전체 치매 질환자의 증가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연도별 연령대별 노인성 질환의 의료이용 현황을 살펴본 결과,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진료실인원과 총진료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치매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에서 2002년 대비 2009년의 진료실인원이 497.7% 증가하였고, 총진료비는 1,232.1%로 증가하였다. 65세 미만에서도 노인성 질환으로 인한 의료이용이 꾸준히 증가하였는데, 치매의 경우 30대에서 2002년 대비 2009년 진료실인원은 증가하지 않았지만 총진료비가 465.0% 증가하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농촌진흥청, 농림위성 개발 협력으로 '우주 농업 시대' 연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임재현 기자 |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5월 15일, 경남 사천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산업(주)을 방문해 차세대 중형위성 4호(농림위성) 개발 현장을 둘러보고 앞으로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주)은 국내 유일의 완제품 항공기 제작 방위산업체로 다목적 실용위성, 정지궤도복합위성, 차세대 중형위성 1~3호 개발 등 다양한 우주개발 산업에 참여했다. 2019년부터는 농촌진흥청과 우주항공청, 산림청이 공동 추진하고 있는 농림위성(2026년 발사 예정) 개발에 참여해 위성 시스템과 본체, 핵심부품을 개발하고 있다. 이날 방문에서 권재한 청장은 “한국항공우주산업(주)과 협력해 개발 중인 농림위성은 우리나라 농업환경을 주기적으로 관측하는 데 최적화된 위성이다.”라며 “주요 작물의 생육 점검(모니터링), 농·산림 정책 지원, 농업 생산 환경·기반 조사, 국가 통계 생산 등 활용 범위가 매우 넓다.”라고 말했다. 이어 “농림위성의 성공적인 발사와 운영을 위해서는 상호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하고, 농업 분야 후속 위성개발 방향과 상생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