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홍종오 기자 | 구미대학교가 '2025년 경상북도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공모에서 7개 과제가 모두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구미대는 5년간 최대 350억 원(연 70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확보하게 됐다. 이를 통해 구미대는 산업체, 지자체 간 협력 모델을 강화하고, 지역 맞춤형 인재 양성을 확대한다. 구미대의 RISE 사업의 방향은 'G-BELT 플랫폼 구축'을 중심으로 지역 산업과 연계한 맞춤형 교육 및 연구 혁신 모델을 추진하는 것이다. 구미대는 경상북도 RISE사업의 3개 프로젝트에 골고루 선정됐다. K-IDEA VALLEY 프로젝트에는 '지역성장혁신 LAB' 단위과제와 '현장실무형 고급인재 양성' 단위과제 등 2개가 선정됐다. 반도체·방산 혁신LAB을 비롯하여 학과별로 다양한 LAB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연구, 기술지원, 창업 등을 지원하고, 구미와 경북에 정주할 수 있는 맞춤형 실무인재를 양성할 예정이다. K-IVY 프로젝트에는 구미지역 3개 대학이 유학생 교육을 위한 연합대학을 구성하고, 지역기업에 필요한 인력을 공급하는 'MEGAversity' 단위과제와 구미지역의 특화산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재욱 기자 | 영남대학교가 2025년 경상북도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에서 7개 신청 과제 모두 선정되며, 경북권 29개 대학 중 최대 규모인 525억 원 규모(연 105억 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 RISE(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사업은 지자체의 대학 지원 권한 확대와 규제 완화를 통해 지자체 주도로 대학을 지원하며,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목표로 한다. 이번 선정으로 영남대는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세계 속 No.1 혁신성장동력 구축'을 비전으로 제시하며, 지역 경제 및 산업과 연계한 창업과 기술 혁신을 선도할 예정이다. 특히, 영남대학교는 신청한 과제별 사업계획 우수성과 추진 역량 우수성을 인정받아 신청한 7개 과제 모두 선정되었다.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K-완성형 창업생태계 구축 ▲특화산업 경북형 앵커기업 육성 ▲중소기업 도메인기술-딥테크 R&D ▲혁신아이디어 실현 All-in-One 플랫폼 구축 ▲K-미래주도 현장실무형 고급인재 양성 ▲경북형 모빌리티혁신대학 ▲한국발전 경험 공유 플랫폼 고도화, 이상 7개로 지역 산업의 전주기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홍종오 기자 | 수성대학교는 지역 발전과 연계한 대학의 전략적 지원 체계를 안내하는 '찾아가는 대구 RISE계획 대학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16일 오후 수성대학교 젬마관 소강당에서 진행된 설명회에는 대구시 김종찬 대학정책국장 및 대구시 관계자와 강성수 수성대 산학협력단장과 수성대학교 교직원이 참여한 가운데 김광석 대구RISE센터장의 설명으로 설명회를 개최했다. RISE는 2025년 교육부 대학지원 사업의 일부 행·재정 권한을 지자체에 위임·이양하고,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위해 지역발전과 연계해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말한다. 이번 설명회는 대구시의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의 본격 시행을 앞두고 대학과 대구시 RISE계획을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 설명회에서는 RISE 추진 배경 및 개요, 지역 및 사업의 교육 현황, 대구 RISE 비전 및 목표, 프로젝트 세부과제, 향후 추진 계획 등을 안내했다. 대구지역에서는 교육부 일반재정지원 대상인 10개 대학(경북대·계명대·계명문화대·대구공업대·대구과학대·대구교육대·대구보건대·수성대·영남이공대·영진전문대)이 내년부터 RISE 체계로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홍종오 기자 | 영남이공대학교는 15일 오후 2시 본관 대회의실에서 '찾아가는 대구 RISE계획 대학 설명회'를 진행했다. 찾아가는 대구 RISE계획 대학 설명회는 대구시가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이하 RISE)'의 본격 시행을 앞두고 대학과 대구시 라이즈 기본계획을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설명회는 이재용 총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김광석 대구RISE센터장이 RISE 추진 배경 및 개요, 지역 및 사업의 교육 현황, 대구 RISE 비전 및 목표, 프로젝트 세부과제, 향후 추진 계획 등 대구시의 RISE 기본계획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질의응답을 통해 참석자들의 이해를 높였다. RISE는 2025년 교육부 대학지원 사업의 일부 행·재정 권한을 지자체에 위임·이양하고,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위해 지역발전과 연계한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다. 대구에서는 교육부 일반재정지원 대상인 지역 10개 대학(경북대·계명대·계명문화대·대구공업대·대구과학대·대구교육대·대구보건대·수성대·영남이공대·영진전문대, 이하 가나다순)이 내년부터 RISE 체계로 편입된다. 영남이공대학교 이재용 총장은 "영남이공대학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