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 못내는 기업 ESG ' 발칵 ' 뒤집은 청소년 ESG 실천
데일리연합 (SNSJTV) 서민정 기자교육생 | 기후변화와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하면서 ESG (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은 기업 생존의 핵심 요소로 떠올랐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한국은 ESG 투자 규모와 기업의 ESG 성과에서 선진국에 비해 뒤처져 있다. 특히 지배구조(G) 부문에서 낮은 점수를 받으면서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런 배경은 기업의 보여주기식 활동인 '그린워싱(Greenwashing)'이 만연해지면서, 국민 신뢰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대한민국 ESG의 민낯...말뿐인 약속들 현재 우리 사회는 ESG를 외치지만, 많은 부분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환경(E) 부문에서 기업 탄소 배출 감축을 목표로 삼고 있지만 속도는 더디다.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의 약 30%를 차지하는 가운데, 산업 현장의 감축 노력이 충분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회(S) 부문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많다. 한국 산업재해 사망률은 OECD 국가 중 높은 편이며, 성별 임금 격차는 OECD 평균의 약 두 배에 달한다고 고용노동부는 밝혔다. 이런 노동·안전 문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서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