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8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대구

계명대, '대학혁신지원사업 연차성과 평가' 최고 등급 달성

교육혁신성과 S등급 자체성과관리 A등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홍종오 기자 | 계명대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2025년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에서 교육혁신성과 S등급, 자체 성과관리 A등급으로 2개 영역 모두 최고 등급을 획득했다고 전했다.

 

대학혁신지원사업은 대학별 자율혁신을 통한 체질 개선으로 양질의 대학교육과 미래 인재 양성을 도모하는 교육부의 대표적인 대학재정지원사업이다. 전국 138개 대학이 참여했으며, 각 대학의 교육혁신 추진 실적과 자체 성과관리 역량에 대한 평가를 기반으로 성과등급이 결정된다.

 

교육부는 6일 '교육혁신 성과'와 '자체 성과관리' 두 개 영역에 대한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교육혁신 성과 영역은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의 교육혁신 추진 실적과 계획을, 자체 성과관리 영역은 자율 성과지표 관리 및 환류 실적을 평가 기준으로 삼았다.

 

계명대는 ▲자율전공부 입학정원 확대와 학생성공센터 신설 ▲유연한 학사 운영 실현 ▲ K-Cloud College를 통한 융합전공 강화 및 마이크로디그리 운영 ▲액티브 러닝 중심의 교수학습 체계 구축 ▲AI 기반 디지털 교육 플랫폼 도입 및 고도화 ▲장학금 및 특성화 오픈 플랫폼 운영 ▲디지털 캠퍼스 기반 구축 등 스마트 교육 환경 조성에서 교육혁신 성과를 인정받았다.

 

'자체 성과관리' 부문에서도 대학 차원의 성과지표 연계 체계 고도화, AI 기반 진단도구 활용을 통한 성과분석 체계화, 데이터 기반의 성과 환류 구조 구축 등을 통해 A등급을 받으며 체계적인 혁신관리 역량을 증명했다.

 

이번 평가 결과로 계명대는 2025년 대학혁신지원사업비로 총 143억 3천만 원을 확보했으며, 이 가운데 정성성과 사업비는 78억 3천1백만 원이다.

 

신일희 총장은 "대학 구성원들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바탕으로 교육과정과 운영체계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혁신을 이어온 성과가 이번 평가를 통해 입증됐다"며 "앞으로도 미래 인재 양성과 글로컬대학 선정과 실현을 위한 교육혁신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김해시, 축산농가 폭염 대응 점검홍태용 시장, 한림면 양돈·한우농가 방문 격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이동수 기자 | 홍태용 김해시장은 8일 김해시 한림면 양돈농가(무성농장)와 한우농가(상원농장)를 방문해 폭염 피해 대응 상황을 점검하고 현장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김해시는 올 여름 더위로 돼지 2,332마리가 폐사(7일 가축재해보험 접수기준)하는 등 가축 피해가 증가하고 있고 폭염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가축 피해 최소화를 위해 총력 대응하고 있다. 김해시는 폭염 대비 축산재해 피해 최소화를 위해 상반기에 9개 사업(가축해재보험 등), 19억1,100만원을 집중 지원했다. 구체적으로 ▲폭염 대응 가축 피해 최소화 긴급대책 회의 개최(7.25. 축산단체 등) ▲축산농가 면역증강제 긴급 지원(3,000포) ▲폭염 관련 시설·장비 긴급 지원(냉방기 등) ▲축산 긴급 급수·살수 지원(김해동(서)부소방서 등) ▲축산농가 가축재해보험 가입 독려 ▲고온기 가축 및 축산관리 리플릿 제작·배부(1,000매) 등 가축 폭염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날 축산농가 방문에서 농장주는 폭염 방지를 위해 면역증강제 추가 지원을 요청했으며 홍태용 시장은 “재난안전 특별교부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