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8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충북

조병옥 음성군수, 대소면민과의 허심탄회한 대화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이성용 기자 | 조병옥 음성군수는 17일 새해 여섯 번째 연두순방 일정으로 대소면을 찾아 면민들과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누며 의견을 청취했다.

 

대소면은 중부고속도로, 평택‧제천 간 고속도로, 82번 국지도가 관통하는 교통 요충지로 수도권과의 접근성도 좋아 많은 기업체가 입주해 있는 농‧공‧상업 복합형 지역이다.

 

군은 전체 인구 15만 이상의 2030 음성시 건설 목표를 실현 시킬 일환으로 대소면의 읍 승격을 위한 기반을 다진다.

 

이를 위해 군은 △정주여건 개선(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 농촌공간정비사업) △성본산업단지 공동주택 공급 △삼정지구 도시개발사업 △대풍제2산업단지조성사업 △산업기반 개선사업 △ 대소공영주차장 조성사업 등을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다.

 

먼저 대소면을 살고 싶은 도시로 발돋움하도록 정주여건 개선사업을 추진한다. 대소면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은 교육·복지·문화·경제 등의 사회기반 시스템을 구축해 배후 마을로 만드는 사업이다.

 

군은 25년 건축설계와 시행계획, 지역역량 강화 용역을 추진하고, 대소면 오산리 일원에 2026년까지 사업비 180억원을 들여 박장대소 복합거점센터 건립을 추진해 생활SOC복합시설을 확충한다.

 

오산지구 농촌공간정비사업은 161억원 규모로 오산리 일원에 박장대소 상상공연장, 상상문화마당 등 주민 문화복지 공간을 조성한다. 본 사업은 2026년 말 준공 목표로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과 연계 추진해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도모한다.

 

지난해에 이어 대소면의 인구증가 추세를 지속 견인할 대규모 주택공급도 이어 나간다. 성본산업단지 공동주택은 지난해 1735세대가 준공된 데 이어, 금년도에도 B1BL(푸르지오 마크베르) 644세대, B2BL(푸르지오 센터피크) 875세대, B4BL(우미린 풀 하우스) 1019세대 총 2538세대가 준공을 앞두고 있다.

 

삼정지구 도시개발사업은 1801세대 규모로 조성하며 2014년부터 추진해 2023년 단지 조성공사를 완료하고, 2028년에 주택건설사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산업기반 시설 확충과 환경개선도 적극 추진한다.

 

대소면 대풍리 일원 조성하는 대풍제2산업단지계획(83만㎡)을 금년 하반기 승인신청하고 성본산업단지 연계도로 확포장사업을 금년 상반기 내 마무리 한다.

 

또한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대풍산단 공공폐수처리시설 증설 및 개선사업, 대소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2차), 대소 하수관로 정비사업(3차) 등을 추진한다.

 

그 밖에도 △대소-삼성 간 513호선 지방도 4차선 확포장 △대소면 소재지 우회도로 개설사업 △축산물 공판장 연계도로 개설사업 △대소공영주차장 조성사업 등을 추진해 교통·주차 환경개선에 나선다.

 

조병옥 군수는 “대소면은 지난해부터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음성군 시 승격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우량기업 유치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발전을 도모하고 대소면을 읍으로 승격시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ESG 공시 의무 강화, 한국 기업의 대응 전략 시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공시 및 실사 의무가 강화되면서 한국 기업들이 새로운 전환점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국제적인 규제들이 고도화되면서, 국내 기업들은 수출 및 글로벌 공급망 유지를 위해 더욱 철저한 ESG 경영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최근 EU 집행위원회를 중심으로 논의되는 CSDDD는 기업이 인권 및 환경 측면에서 자사의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식별하고 예방, 완화하도록 의무화한다. 이는 유럽 내 대기업뿐만 아니라 유럽 시장에 진출하거나 유럽 기업과 거래하는 비EU 기업들에게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공급망 내의 중소기업까지 ESG 리스크 관리를 확대해야 함을 의미한다. 과거의 자율적인 공시를 넘어, 이제는 법적 구속력을 가진 강제적인 실사 의무가 도래하는 것이다. 이러한 규제 환경의 변화는 한국 기업들에게 이중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먼저, 복잡하고 다양한 해외 규제에 대한 이해와 준수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자체적인 ESG 성과 관리뿐만 아니라 협력사의 ES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