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네덜란드, 영어능력지수 세계 1위를 재탈환하다

취리히, 2019년 11월 5일 -- 글로벌 교육기업 EF(Education First)가 전 세계 비영어권 성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영어능력지수 조사 결과인 EF 영어능력지수(EF English Proficiency Index, 이하 'EF EPI') 제9판을 공개했다.

 


The EF English Proficiency Index is an annual ranking of countries and regions by English skills.

 

조사 결과는 세계 최초의 무료 표준 영어 시험인 EF SET(EF Standard English Test)의 응시 결과를 바탕으로 하며, 이번 조사에는 100개 국가, 지역의 230만 명 비영어권 국가 성인이 참여했다.

그 결과, 지난해 제8판에서 1위 스웨덴과 미세한 차이로 2위에 오른 네덜란드가 1위를 탈환했으며, 우리나라는 일본과 태국 등 다른 아시아 국가보다 높은 37위에 올랐다. 다만, 우리나라의 순위는 지난 조사보다 6계단 떨어진 것이며, 아시아는 여전히 개별 국가 간 점수 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의 경우 EU 회원국의 영어 수준 발전 속도를 EU 주변국이 따라가지 못하는 양극화 현상을 보였으며, 라틴 아메리카는 18개국 중 12개국의 영어 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수년간의 침체에서 벗어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아프리카는 전체 평균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상위 국가와 하위 국가의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여전히 우수한 영어 실력을 보였지만, 성 격차는 매년 좁혀지고 있다. EF EPI를 통해서는 이 외에도 높은 수준의 영어 실력이 고소득과 노동생산성 향상 등 다양한 경제 경쟁력 지표와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를 더 많이 사용할수록 개인, 기업, 국가가 더욱 유용하게 자원과 기회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결과도 도출됐다.

EF 교육 부문 민 트란(Minh Tran) 총괄 디렉터는 "영어는 여전히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비즈니스 언어다" 라며, "EF EPI 제9판은 정부가 언어 학습 정책과 그에 대한 투자 수익률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매우 폭넓은 지표다"라고 설명했다.

EF EPI 제9판과 더불어 학교를 대상으로 한 EF 영어 능력 지수(이하 EF EPI-s)도 발표되었다. EF EPI-s는 43개국의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영어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EF EPI와 EF EPI-s 보고서 자료는  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한편, 언어, 학문, 문화 체험에 중점을 둔 글로벌 교육 기업 EF는 '교육을 통해 세상을 연다'는 사명으로 1965년 설립되었다. 현재 50여 개국에서 600여 개의 캠퍼스와 지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교육서비스 공식 제공사로 활약했다. 또한 2020 도쿄 올림픽 및 패럴림픽의 언어 교육 공식 파트너로 지정됐다.

Photo -
Logo -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영국 교사 부족 사태, 한국 교육 현장에 주는 경고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영국 공립학교의 교사 부족 문제가 국가적 차원의 교육 위기로 번지고 있다. 최근 발표된 조사에 따르면, 영국 내 공립학교의 25% 이상이 적격 과학교수 없이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과학교육의 질을 떨어뜨리고 학생 간 학습 격차를 심화시키는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 같은 현상은 단지 영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한국 역시 교원 수급 불균형과 지역·계층 간 교육 격차라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던진다. 영국: 과학교육 공백, 사회적 이동성 위협영국에서 과학교사 부족은 교육 기회의 불평등으로 직결되고 있다. 일부 학교는 과목 개설 자체가 축소되거나 사라지고 있으며, 중산층 이상은 사교육을 통해 이를 보완하지만 저소득층은 그렇지 못해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디지털 격차로 누적된 학습 손실이 여전히 해소되지 못한 상황에서 교사 부족은 불평등의 악순환을 강화하고 있다. 한국: 교사 수급·교육 격차의 그림자한국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특정 지역에서는 교원 충원이 더딘 탓에 기초학력 지원이나 특수교육 분야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수도권과 비수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