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공학 기술의 경이로움으로 텔랑가나의 꿈을 현실로 구현

- 세계 최대의 양수 관계 프로젝트 KLIP - Package 8 양수장 건설

하이데라바드, 인도, 2019년 8월 12일 --  인도 남부의 건조지역인 텔랑가나(Telangana)의 오랜 꿈이 현실이 되고 있다. 바로 Kaleshwaram 양수 관개 프로젝트(Kaleshwaram Lift Irrigation Project, KLIP)가 가동 준비를 완료함에 따라, 이 지역 주민이 겪어온 물 문제가 곧 끝날 전망이다. 카림나가르(Karimnagar) 지구 Laxmipur 마을 Ramadugu에 위치한 일류 KLIP Package 8 양수장 덕분에 고다바리강 삼각주에서 1년 내내 저수지에 물을 유효하게 저장할 수 있게 됐다. KLIP의 핵심으로 여겨지는 이 거대한 펌프실은 뛰어난 공학 기술의 경이로움을 보여준다. 바로 지구 표면 아래 330m 지점에 건설된 세계 최대의 지하 양수장이기 때문이다. 관개를 위한 물 저장 강화, 높아진 지하수 높이 및 연계 농업 활동, 어업, 관광 등을 통한 생계 개선 기회로 인해 텔랑가나의 전반적인 풍경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독특한 양수장은 고다바리강의 물을 다시 이 강으로 역펌프질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건조했던 텔랑가나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을 전망이다.


MEIL has successfully commenced operations in the world's largest underground pumping station, The Package 8

MEIL 사장 B. Srinivas Reddy는 package 8 지하 양수장과 관련해 "이 양수장은 지하 330m에 건설됐으며, 쌍둥이 터널과 세계 최대의 써지 풀(surge pool)을 갖춘 굉장한 지하 양수장"이라며 "세계적 초대형 프로젝트인 이 양수장은 각 모터의 용량이 139MW에 달하는 7개의 모터로 운영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들 모터는 매일 2TMC에 달하는 물을 양수할 수 있다"면서 "이 거대한 모터는 전산 유체 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기술로 인도에서 개발한 만큼 '메이크 인 인디아'의 진정한 예"라고 설명했다. 또한, "KLIP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3,057MW 용량에 달하는 전기 기반시설을 완공한 것"이라며 "이 기반시설은 6개의 400KV와 220KV 변전소, 변압기, 260km 송전선, 7km 400KV XLPE 지하 케이블로 구성된다. 어떤 기준에서 보든 이 프로젝트는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메가 프로젝트이며, 이 거대한 과제를 완성한 공로는 MEIL에 있다"고 덧붙였다.

이 지하 시설의 구조와 규모는 실로 엄청나다. 이 양수장을 돌아다니다 보면 여러 층으로 이뤄진 거대한 지하 쇼핑몰에 온 듯한 착각이 들 정도다. 일반적으로 양수 관개 프로젝트용 양수장은 더 높은 위치로 물을 펌프하기 위해 강둑 근처의 지상에 건설된다. 그러나 이 독특한 대형 구조물(세계에서 동종 최초의 구조물)은 지면에서 300m 아래 건설됐으며, 1일 펌프 용량이 2TMC에 달한다.

들어오는 물을 지하에서 빼낼 양수장과 써지 풀을 건설하고자 거대한 지하 동굴들을 발굴했으며, 이곳에서부터 물을 양수하고자 펌프와 모터들을 설치했다. 과학과 기술을 근간으로 인간이 만든 이 공학 기술의 경이로움을 구현하고자 지구 표면 아래 330m 지점에서 21.6lakh CuM에 달하는 토양을 채굴했으며, 4.75lakh m3에 달하는 콘크리트로 양수장을 건설했다.

세계 어느 곳에도 깊이 140m, 너비 25m, 높이 65m에 달하는 이처럼 거대한 동굴은 존재하지 않는다. 양수장 서비스 공간은 지하 221m에 위치한다. 펌프 공간, 변전소 및 제어실은 각각 지하 190.5m, 215m, 209m에 위치한다. 이 양수장은 나란히 건설된 쌍둥이 터널로 구성되며, 각 터널의 길이는 4,133m이고 지름은 10.5m에 달한다. 각 모터를 작동시키려면 139MW의 전력이 필요한 만큼, 압축기와 더불어 160KVA 용량의 펌프 변압기를 성공적으로 설치했다.

이 지하 구조물에서 가장 놀라운 부분은 양수장 내에 위치한 써지 풀이다. 펌프질이 중단 없이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 이 써지 풀을 만들어 충분한 물을 저장하고 있다. 지하 138m에 설치된 터빈 펌프도 이 프로젝트의 또 다른 독특한 특징이다. 각 모터 펌프의 중량은 약 2,376미터톤에 달한다. 각 펌프 유닛의 크기는 실로 엄청난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이들 모터를 '바후발리 모터(Bahubali motor)'로 부르기도 한다.

이처럼 복잡한 고급 전기-기계 작업을 진행하면서, 30년 동안 풍부한 기술 전문지식을 구축한 Megha Engineering Infrastructure Limited (MEIL)는 제때 농지에 물을 공급하고 텔랑가나의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사명으로 이 프로젝트를 시행했다.

MEIL 사장 B. Srinivas Reddy는 "텔랑가나의 꿈의 프로젝트이자, 세계 최대의 양수 관개 프로젝트인 KLIP에 참여하게 돼 영광"이라며 "세계 최고의 엔지니어링 공급업체와 협력하고, 물 공급을 향한 텔랑가나의 꿈을 실현함으로써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시행한 것은 특권이자 일생일대의 기회"라고 말했다.

The Fact Shee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prnasia.com/pro/fec/jwplayer-7.12.1/jwplayer.js"> <script>jwplayer.key="3Fznr2BGJZtpwZmA+81lm048ks6+0NjLXyDdsO2YkfE="</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jwplayer('myplayer1').setup({file: 'https://mma.prnewswire.com/media/958221/MEIL_Package_8.mp4', image: 'http://www.prnasia.com/video_capture/null_KO31389_1.jpg', autostart:'false', aspectratio: '16:9', stretching : 'fill', width: '512', height: '288'});</script>

 

 


The water is flowing out from the delivery channel to the Gravity canal

 

Photo:

Video:

Logo:

Image: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목 졸린 언론".. 국경없는 기자회, 대선 후보에 '언론 자유 회복' 최후통첩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국제 언론 감시단체 국경없는 기자회(Reporters Without Borders, RSF)가 대한민국 대선 후보들에게 언론 자유 수호에 대한 확고한 공약을 요구하며, 윤석열 정부에서 본격화된 언론 탄압을 종식시킬 것을 촉구했다. RSF는 23일 성명을 통해 “윤석열 정권에서 언론의 자유는 뚜렷하게 위축됐으며, 이는 국제 지표로도 명확히 드러난다”며, 2025년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서 한국이 6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의 43위에서 불과 3년 만에 18계단 하락한 수치로, 오랫동안 유지해온 ‘동아시아 언론 자유의 리더’ 지위를 상실한 결과다. 특히 RSF는 “만약 최근 국회에서 계엄령이 저지되지 않았다면, 대통령에게 전례 없는 언론 통제권이 부여됐을 것”이라며 민주주의 근간이 위협받을 뻔했다고 경고했다. RSF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임기 동안 언론을 향한 조직적 압박이 이어졌다고 비판했다. “비판 보도를 ‘가짜 뉴스’로 낙인찍으며 기자들을 반복적으로 공격했다”며, “지난 3년간 14개 매체의 기자들이 수사, 고소, 기소 등의 법적 조치를 당했으며, 대부분 명예훼손 혐의였다”고 밝혔다.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