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매매시황…서울 강남권 15주 만에 반등



부동산뱅크 조사에 따르면 금주 버블세븐 지역의 아파트값은 0.01%▲, 강남권 아파트값은 0.02%▲ 등 주요 지역들이 지난 3월 이후 첫 상승세를 탔다. 높은 상승은 아니지만 1년 넘는 장기불황에 빠진 수도권 시장에서는 기대감을 가져볼 만한 결과다. 특히 강남권은 주요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약진한 것이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도 0.02%▲로 18주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수도권 시장은 전반적으로 지난주에 비해 아파트값 하락폭이 많이 줄어든 양상이다. 서울 -0.02%▼ 경기도 -0.01%▼, 인천시 -0.09%▼, 1기 신도시 0.00%- 등을 기록하며 7월 중에 하락폭이 가장 낮았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에서는 성북구 0.06%▲, 성동구 0.05%▲, 강북구 0.03%▲, 관악구 0.02%▲, 서대문구 0.01%▲ 등이 강보합세를 보인 반면, 양천구 -0.29%▼, 은평구 -0.17%▼, 금천구 0.10%▼, 마포구 0.08%▼, 중랑구 -0.06% 등이 약세를 이어갔다.

특히 서울 재건축 시장은 강남구(0.31%▲)의 상승세가주목을 끌고 있다. 압구정 초고층 개발 사업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구체화되면서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고, 기존 재건축 단지들을 중심으로도 급매 위주의 거래가 간간이 성사되면서 가격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다주택 양도세 중과세 폐지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전셋값 상승으로 인한 매입자금 부담 감소 등도 투자심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강남구는 재건축 단지들이 몰려있는 강남구 개포동 0.26%▲, 삼성동 0.17%▲, 압구정동 0.09%▲, 수서동 0.05%▲, 대치동 0.02%▲ 등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다.

경기도에서는 성남시 0.32%▲, 오산시 0.06%▲, 수원시 0.05%▲, 의왕시 0.03%▲, 안양시 0.02%▲ 등 서울과 인접한 주요 지역들의 집값이 강세를 나타냈다. 반면 과천시 -2.07%▼, 파주시 -0.47%▼, 이천시 -0.20%▼, 광주시 -0.11%▼, 고양시 -0.09%▼ 등은 약세를 이어갔다. 특히 과천시는 보금자리 여파와 정부청사 이전 등의 영향으로 인해 불황을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1기 신도시에서는 산본이 0.08%▲로 가장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고, 평촌 0.03%▲, 분당 0.01%▲, 중동 0.00%- 등을 기록해 일산(-0.09%▼)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들이 강세를 나타냈다. 특히 산본과 평촌의 경우 실수요자들이 많이 찾는 지역으로 전셋값이 오르면서 집값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인천시는 부평구 0.02%▲, 강화군 0.07%▲ 상승한 반면, 중구 -0.41%▼, 동구 -0.23%▼, 서구 -0.13%▼, 연수구 -0.13%▼, 남동구 -0.10%▼, 계양구 -0.08%▼, 남구 -0.06%▼ 등은 약세를 보였다.

지방시장은 지난주에 비해 상승폭이 줄어든 모습이다. 5대 광역시 0.24%▲, 도전체 0.47%▲, 강원권 0.21%▲, 충청권 0.37%▲, 전라권 0.40%▲, 경상권 0.33%▲ 등을 나타냈다.

5대 광역시에서는 광주시 0.37%▲, 부산시 0.28%▲, 울산시 0.14%▲, 대구시 0.10%▲, 대전시 0.09%▲ 등을 기록했다. 도지역별로는 충청북도 0.98%▲, 경상북도 0.75%▲, 경상남도 0.48%▲, 전라북도 0.43%▲, 충청남도 0.26%▲, 강원도 0.21%▲, 전라남도 0.02%▲ 등의 순으로 올랐다.

광주시에서는 북구 1.49%▲, 남구 0.34%▲ 등이 강세를 보였고, 대구시에서는 남구 0.44%▲, 북구 0.16%▲, 대전시는 서구 0.28%▲, 동구 0.17%▲, 부산시에서는 동래군 1.00%▲, 기장군 0.84%▲, 금정구 0.65%▲, 사상구 0.55%▲, 울산시에서는 남구 0.71%▲ 등이 높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밖에 지방에서는 경상남도 함안군 8.10%▲, 충청북도 옥천군 7.54%▲, 충청남도 청양군 5.43%▲, 전라북도 정읍시 5.06%▲, 경상북도 구미시 1.80%▲, 강원도 강릉시 0.54%▲ 등이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대구치맥페스티벌' 막 올라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홍종오 기자 | '제13회 대구치맥페스티벌(이하 치맥페스티벌)'이 2일 화려한 개막식을 시작으로 한여름의 열기를 뜨겁게 달군다. 특히, 올해는 새롭게 구성된 공간과 더욱 다채로워진 이색 콘텐츠를 선보이며 치맥페스티벌을 찾은 관람객들의 오감을 만족시킬 예정이다. 7월 2일 오후 7시 30분, 두류공원 2.28 자유광장에서 열리는 개막식에서는 중앙 무대에 마련된 치맥을 상징하는 ‘대형 치맥 응원봉’과 관람객의 응원봉이 일제히 점등되면서 축제의 서막을 밝힌다. 이어지는 레이저 라이팅과 분수쇼가 어우러진 화려한 퍼포먼스는 개막식의 하이라이트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축제 첫날에는 청하와 박명수가 무대에 올라 신나는 공연으로 축제 분위기를 끌어올리고, 폐막일인 6일에는 YB(윤도현 밴드)가 피날레 무대를 장식하며 축제의 대미를 장식한다. 이 외에도 권은비, K2 김성면, 플로우식, B.I가 축제기간 동안 무대에 오른다. 특히 올해 치맥페스티벌은 3개 구역, 4개 테마존으로 이뤄져 젊은 층부터 가족 단위까지 전 세대가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준비됐다. 먼저 메인 행사장인 2.28 자유광장은 여름 공연의 트렌드를 반영해 시원한 물줄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