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18 (화)

  • 맑음동두천 0.8℃
  • 맑음강릉 4.2℃
  • 맑음서울 1.1℃
  • 맑음인천 1.9℃
  • 맑음수원 2.1℃
  • 맑음청주 2.7℃
  • 구름조금대전 3.5℃
  • 맑음대구 3.5℃
  • 구름많음전주 3.5℃
  • 맑음울산 3.9℃
  • 흐림광주 4.9℃
  • 맑음부산 6.4℃
  • 맑음여수 5.9℃
  • 흐림제주 10.8℃
  • 구름조금천안 2.4℃
  • 맑음경주시 3.9℃
  • 맑음거제 6.6℃
기상청 제공

전북

전북교육청, 청소년 놀이공간 조성 이야기 담은 ‘학교야 놀자’ 펴내

내가 만든 학교 놀이공간 이야기 들어볼래?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양평호 기자 | 학교 안에 아이들이 언제든 찾아가 맘껏 쉬고 놀 수 있는 특별한 놀이공간이 생겨났다.

 

접근성이 좋은 실내엔 아늑한 쉼터가, 큰 나무 그늘이 펼쳐진 실외에는 트리하우스가, 오래된 조회대는 아이들의 아지트가 되기도 하고, 낡은 창고와 방치된 유휴 공간은 중정의 멋진 놀이터로 변신했다.

 

전라북도교육청(교육감 김승환)이 청소년 놀이공간 조성 학교의 이야기를 담은 ‘학교야 놀(이)자(치)’를 펴냈다.

 

청소년 놀이공간 조성은 아동과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학교에 놀이 우호적인 공간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지난 2019년부터 전라북도교육청이 세이브더칠드런과 손잡고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2019년 19교, 2020년 18교, 2021년 14교 등 3년간 51개 학교에 아이들이 안전하고 자유롭게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졌으며, 이 책에는 10교의 놀이공간 조성 과정을 담아냈다.

 

학생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참여디자인 교실’을 통해 아이들은 놀이 공간을 스스로 디자인하고 학습과 놀이, 쉼이 있는 공간으로 채워갔다. 설계 과정에서 주인공인 아이들을 중심에 두고, 교사와 학부모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설계사와 여러 차례 의견을 나누며 새로운 공간을 함께 꾸몄다.

 

책은 △1부 오래된 학교의 새로운 변신(옥구초·장수초·김제중앙초) △2부 특색있는 놀이 공간, 여기 모였네(김제검산초·전주동북초·남원교룡초·전주서신초) △작은 우리학교에도 새로운 공간이(복흥초·대리초·격포초) △4부 놀이 공간이 만들어지기까지 등의 순으로 구성됐다.

 

책자 발간 업무를 담당한 신희은 장학사는 “청소년 놀이공간 조성은 아이들의 상상을 가치 있게 여기며, 아이들을 중심에 두고 다양한 전문가와 협업·검토해 학교 내 아이들 공간을 만드는 일”이라며 “이 책에 담겨진 10개 학교의 이야기가 전례가 없어 학교 놀이공간 변화를 주저하고 있는 학교들에게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승환 교육감은 발간사를 통해 “놀이는 아이들의 권리이다.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친구를 만나고 사회성을 키우고 세상과 어른에 대한 신뢰를 쌓아간다”며 “전북교육은 아이들이 놀이를 통해 더 많은 이야기를 풀어내고 더 큰 꿈을 품을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아동의 작은 신호도 놓치지 않는다… 대전 대덕구, 24시간 아동보호 체계 강화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11월 19일은 ‘아동학대예방의 날’이다. 이 순간에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고통받는 아이들이 없는지, 그리고 우리 사회의 안전망은 얼마나 튼튼하게 작동하고 있는지 되돌아보게 되는 날이다. 아동학대가 더 이상 ‘가정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범죄’로 인식되면서 지방자치단체와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다. 2020년 아동학대 대응 체계가 공공 중심으로 개편된 이후 지방자치단체는 아동 보호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고 있다. 대덕구 역시 아동의 작은 신호도 놓치지 않기 위해 24시간 대응 체계를 가동하며 촘촘한 보호망 구축에 나서고 있다. ▶ 24시간 꺼지지 않는 불빛, ‘아동학대 신속 대응체계’ 아동학대 대응의 핵심은 ‘신속성’이다. 대덕구는 112로 아동학대 의심 신고가 접수되면,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과 경찰이 즉시 출동하는 24시간 공동 대응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야간과 휴일에도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365일 당직 및 비상근무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구는 현장 출동 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