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18 (화)

  • 맑음동두천 0.8℃
  • 맑음강릉 4.2℃
  • 맑음서울 1.1℃
  • 맑음인천 1.9℃
  • 맑음수원 2.1℃
  • 맑음청주 2.7℃
  • 구름조금대전 3.5℃
  • 맑음대구 3.5℃
  • 구름많음전주 3.5℃
  • 맑음울산 3.9℃
  • 흐림광주 4.9℃
  • 맑음부산 6.4℃
  • 맑음여수 5.9℃
  • 흐림제주 10.8℃
  • 구름조금천안 2.4℃
  • 맑음경주시 3.9℃
  • 맑음거제 6.6℃
기상청 제공

전북

완주군, 귀농귀촌 1번지 '중장년층 인구' 증가세 이목 집중

- 최근 6개월 새 230여 명 점증, 올 9월 중 중장년층 인구 비중 40.3% 최고
- 단계별 귀농귀촌 지원, 은퇴자 대상 공동체와 다양한 문화 활동, 맞춤형 평생교육 등 활성화 덕분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양평호 기자 | 완주군(군수 박성일)의 40세 이상 64세 미만의 중장년층 인구가 점진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완주군은 올 9월말 현재 40~64세의 중장년층 인구는 주민등록 기준 시 총 3만6,755명으로 최근 6개월 새 230여 명이 증가했다고 13일 밝혔다.

 

세대별 맞춤형 지원책과 귀농귀촌 지원 등 완주군만의 차별화된 정책이 중장년층을 끌어들이는 근원적인 힘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중장년층 인구는 작년 1월만 해도 3만6,482명에 불과했으나 이후 지속적인 소폭 증가세를 유지해 최근 3만6,700명대로 안착했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중장년층 비중은 지난해 상반기 한때 39.7%까지 떨어진 후 작년 말엔 40.0%로 올랐고, 올 3월 중 40.1%, 올 6월 중 40.2%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올해 9월 중에는 중장년층 비중이 40.3%를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중장년층 비중이 높은 읍면으로는 동상면이 47.9%를 기록해 단연 1위를 달렸고, 구이면 43.6%, 상관면 42.1% 등으로 나타났다.

 

중장년층 인구 증가는 귀농·귀촌인에게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단계적 지원에 나서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완주군은 주택 신축과 매입, 수리비(세대당 최대 500만원)를 지원하고, 농지매입과 임차비 지원(세대당 최대 250만원), 비닐하우스 신축비(세대당 최대 960만원), 이사비(50만), 교육훈련비(세대당 최대 30만원) 등 다양한 지원에 나서고 있다.

 

덕분에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가 공동 발표한 ‘2020년 귀농·귀촌인 통계’에서 완주군으로 귀농·귀촌한 가구는 총 3,637가구에 4,793명을 기록, 전북으로 귀농·귀촌한 가구의 약 22%를 차지하기도 했다.

 

중장년층의 귀농·귀촌 인구 증가와 함께 퇴직한 60대 초반을 위한 정주여건 기반 마련과 도·농 복합도시의 매력적인 로컬푸드, 활발한 공동체 활동 등이 맞춤형 평생교육 프로그램으로 연결돼 있어 완주군 중장년층 인구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완주군은 중장년층의 일자리 문제와 인생 이모작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 평생 교육 학습 프로그램 강화 등에 적극 나서 중장년층 유입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어서 관심을 끈다.

 

한편 올 9월말 현재 완주군의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0세에서 17세의 아동인구가 전체의 14.3%를 차지했으며, 18~39세의 청년 인구는 21.1%,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은 24.2%인 것으로 분석됐다.

 

완주군의 13개 읍면 중에서 청년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이서면(26.3%)과 봉동읍(25.2%)이며, 봉동읍과 삼례읍, 이서면 등 이른바 ‘봉-삼-이 빅 3’의 인구 점유율도 6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아동의 작은 신호도 놓치지 않는다… 대전 대덕구, 24시간 아동보호 체계 강화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11월 19일은 ‘아동학대예방의 날’이다. 이 순간에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고통받는 아이들이 없는지, 그리고 우리 사회의 안전망은 얼마나 튼튼하게 작동하고 있는지 되돌아보게 되는 날이다. 아동학대가 더 이상 ‘가정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범죄’로 인식되면서 지방자치단체와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다. 2020년 아동학대 대응 체계가 공공 중심으로 개편된 이후 지방자치단체는 아동 보호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고 있다. 대덕구 역시 아동의 작은 신호도 놓치지 않기 위해 24시간 대응 체계를 가동하며 촘촘한 보호망 구축에 나서고 있다. ▶ 24시간 꺼지지 않는 불빛, ‘아동학대 신속 대응체계’ 아동학대 대응의 핵심은 ‘신속성’이다. 대덕구는 112로 아동학대 의심 신고가 접수되면,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과 경찰이 즉시 출동하는 24시간 공동 대응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야간과 휴일에도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365일 당직 및 비상근무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구는 현장 출동 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