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김재욱 기자 | 경북문화관광공사는 9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포항-제주 해녀 교류 및 제주도 탐방 행사'를 진행하며 지속 가능한 해양관광 발전을 위한 새로운 교류의 장을 열었다고 전했다. 포항시가 주최하고 공사가 주관한 이번 행사는 국가무형문화재인 해녀 문화를 계승하고 해양 문화를 매개로 지역 해녀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8월 포항시와 제주특별자치도는 포항 구룡포 과메기문화관 잔디광장에서 '제주해녀상 제막식'과 '동백나무 기념식수 행사'를 열어 해양문화 교류를 다졌다. 이번 교류는 포항과 제주가 해양 공동체로서 지속적인 연대를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번 행사는 제18회 제주해녀축제와 제8회 해녀의 날 기념식과 연계하여 추진되었다. 포항 해녀 20여 명을 포함한 제주, 거제, 부산 등 전국 각지 해녀 550여 명이 소통과 화합의 시간을 가졌고, 특히 축제의 시작을 알린 '숨비행렬 거리 퍼레이드'에서는 포항시 대표 캐릭터 '연오'와 '세오'가 해녀들과 함께 행진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포항 해녀들은 제주 해녀들과의 교류를 통해 '바다를 통해 맺어진 동료애'를 나누며 특별한 추억을 만들었다. 제주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고전 오페라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공연 콘텐츠가 태어난다. 관광객이 즐기고, 기억하고, 돌아가서도 이야기할 수 있는 ‘관광 오페라’의 탄생이다. 탁계석 콘텐츠 기획자와 박영란 작곡가가 손을 잡고 영상과 음악, 춤과 설화, 노래와 서사가 한데 어우러진 '옴니버스 오페라'의 구상에 들어갔다. 제주는 신화의 섬이다. 화산이 만든 신비로운 대지 위에 하늘에서 내려온 흰 사슴, 거대한 여신 설문대할망, 바람의 여신 영등할망, 해녀와 해적의 사랑 이야기, 그리고 사람과 자연이 함께 만든 전설들이 사계절의 이야기로 피어난다. 본 공연은 봄·여름·가을·겨울 네 장으로 구성된 옴니버스 구조로, 각 계절에 어울리는 제주 신화를 중심으로, 다채로운 음악과 무용, 현장 라이브 연주와 멀티미디어 영상이 결합된다. '보고 듣고 느끼는 제주’, ‘기억 속에 남는 제주'를 캐치프레이즈로 화려한 무대장치와 제주 자연의 영상, 감동적인 성악과 합창, 한국 전통 무속과 서양 클래식의 접목. 이는 단순한 오페라가 아니라 장르의 경계를 허문 열린 이야기 극, 누구나 쉽게 공감하고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김재욱 기자 | 경북문화관광공사는 국가무형유산인 해녀들의 문화를 보존·전승하기 위한 '경북(포항)-제주 해녀 교류 및 울릉도·독도 탐방'행사를 5월 29일부터 31일까지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행사는 '제29회 바다의 날'(5월31일)을 계기로 동해와 어촌공동체를 지켜온 포항시가 주최하고, 경북문화관광공사가 주관했다. 지난 2022년 경북도와 제주도의 '해양인문 교류 및 섬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에 따른 사업으로 올해 3년째 이어오고 있다. 그동안은 경북도가 제주 해녀를 포항으로 초청해 경북 해녀와 교류했고, 울릉도는 제주 해녀만 방문했었다. 두 지역 해녀의 역사성을 잇는 울릉도에서는 올해 처음으로 양도 해녀가 함께 시간을 가져 그 의미가 크다. 이번 탐방단은 경북해녀협회 소속 경북해녀합창단과 1970년대 울릉도에서 '물질'(나잠어업) 했던 제주해녀 등 30여 명으로 이뤄졌다. 탐방단은 29일 포항에서 만나 30일 울릉도·독도 해양연구기지와 독도박물관의 '독도 그리고 해녀' 특별전을 관람했다. 울릉도와 독도로 출어한 해녀들의 역사와 활동, 조업방식 변화 등을 살펴보며 우호를 다졌다. 1년 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