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홍종오 기자 | [전문] 2003년 2월 18일, 평범했던 하루가 참혹한 비극으로 얼룩졌다. 대구지하철참사는 192명의 소중한 생명을 앗아갔고, 151명의 시민들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다. 그리고 남겨진 가족들은 22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그날의 슬픔 속에 머물러 있다.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과 부상자분들께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 22년이 지난 지금도 희생자들을 온전히 기릴 수 있는 추모공원 하나 없다. 유가족들은 대구시와의 합의를 믿고 기다려왔지만, 대구시는 책임을 회피하며 시간을 흘려보냈다.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유가족들의 간절한 외침은 공허한 메아리가 되었다. 추모공원 조성은 단순한 시설이 아니다.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다시는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다짐하는 공간이다. 참사를 잊지 않는 것은 우리의 의무이며 더 안전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첫걸음이다. "죽은 자가 살아있는 자를 구하고 과거가 현재를 돕는다" 대구시는 더 이상 유가족들의 슬픔을 외면하지 말고 공식적인 추모공원 조성을 위한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은 다시 한번 지하철참사의 아픔을 가슴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홍종오 기자 | 7월 1일 경북 군위군이 대구의 품으로 들어왔다. 군위군은 대구시의 1/2면적이다. 이에 대구시는 기존 885㎢에서 1499㎢로 서울시 면적 605㎢의 2.5배에 달하는 규모가 되었다. 대구는 넓어진 면적만큼 풍부한 부지자원을 바탕으로 미래 신산업 육성에 유리한 조건을 갖게 되었으며, 최우선 지방소멸위기 지역이던 군위군은 대구시 편입으로 도시 수준의 행정, 복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도 있다. 대구와 군위를 잇는 직통 도로에 대한 해결문제와 대구시 편입으로 인해 군민들의 농촌 지원 혜택 축소 여부 등이다. 대구시는 군민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기존의 보조사업이 축소되지 않도록 세심하게 조율하여 주민편익을 보장해야 한다. 한편, 대구민주당은 삼국유사의 지방인 군위군 편입을 환영하며, 군위군이 혁신도시로 나아갈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