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4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바이오 프로세스 인터내셔널(BPI)’ 행사에서 새로운 위탁개발(CDO) 플랫폼 2종을 공개했다. 이번에 선보인 플랫폼은 '에스-에이퓨초(S-AfuCHOTM)'와 '에스-옵티차지(S-OptiChargeTM)'로, 각각 항암 효과를 증대시키고, 단백질 생산의 품질을 최적화하는 기술이다. ‘에스-에이퓨초’는 항체에서 푸코스(Fucose)를 제거해 항체 의존성 세포독성(ADCC)을 강화하는 어푸코실화(Afucosylated) 세포주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항암 효과를 기존 세포주 대비 14배 향상시킬 수 있다. ‘에스-옵티차지’는 단백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하 변이를 조절하는 플랫폼이다. 이는 바이오의약품의 효능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이 플랫폼은 공정 최적화를 통해 단백질의 품질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BPI 기간 동안 고객사를 대상으로 네트워킹 세미나를 열어 CDO 서비스 경쟁력을 소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두 플랫폼을 포함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CDO 플랫폼은 총 9개로 확대되었다.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파수(대표 조규곤)가 클라우드 선도 기업 메가존클라우드(대표 이주완)와 함께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인 DSPM(Data Security Posture Management)을 공동 개발한다. DSPM은 민감 데이터를 식별하고 보호하며, 멀티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둔 솔루션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2024년 내에 고객들이 클라우드에서 안전하게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에 개발되는 DSPM 솔루션은 파수의 데이터 식별 및 분류 기술인 '파수 데이터 레이더(Fasoo Data Radar)'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 솔루션은 클라우드 내 민감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해 암호화, 격리, 분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일정 기간 후 데이터를 파기하거나 권한을 회수하는 기능도 포함되어 있어 개인정보 관리와 관련된 컴플라이언스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양사는 DSPM 솔루션을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로 제공해, 구매부터 구축, 운영까지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특히 메가존클라우드의 CNAPP(클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아트테크 업체 갤러리K(갤러리케이, 대표 김정필)의 사기 의혹이 일파만파 번지는 가운데, 갤러리K가 LG전자(066570, 대표이사 조주완)의 가전제품을 활용해 ‘아트리빙’이라는 결합상품을 만들어 판매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본지 취재에 따르면. 갤러리K는 LG전자의 가전제품을 미술품 투자(아트테크)에 결합한 ‘아트리빙’이라는 상품을 만들어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갤러리K 측에 따르면, 아트리빙은 10년 장기할부 혜택으로, 갤러리K의 미술품에 투자하면 작품 구입 금액의 20% 내에서 원하는 LG전자의 가전제품을 소장할 수 있는 결합상품이다.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 ‘아트리빙’을 검색하면, 갤러리K가 홍보 목적으로 게시한 것으로 보이는 게시글이 많이 나온다. 올해 1월에도 갤러리K가 운영하는 블로그에 관련 게시글이 올라온 것으로 보아, 올 초까지도 아트리빙 상품을 판매해 온 것으로 보여진다. 문제는 아트리빙을 통해 갤러리K와 계약했다는 피해자들이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갤러리K에 투자해 피해를 입은 사람들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LG전자의 아트리빙 상품을 통해 갤러리K와 계약했다는 글들이 몇몇 올라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 이하 기업은행)이 24일, 미화 8억 달러 규모의 소셜본드 발행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발행은 기업은행이 글로벌 채권 시장에서 발행한 역대 최대 규모의 공모 채권으로, 발행 금리와 함께 국내 최초로 ‘다양성 및 포용성(Diversity & Inclusion)’을 연계한 본드 발행을 통해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기업은행은 3년 변동금리부채권(FRN)과 5년 고정금리부채권(FXD)으로 구성된 듀얼 트렌치 전략을 통해 진행됐으며, 금리 인하 사이클을 앞둔 상황에서 다양한 투자자의 활발한 참여를 이끌어냈으며, 그 결과 46억 달러의 주문이 몰리며 초과 수요는 5.8배에 달하는 기록적인 수치를 달성했다고 전했다. 특히 이번 발행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발행 금리 절감이다. 3년 변동금리부채권(FRN)은 SOFR 금리에 62bps, 5년 고정금리부채권(FXD)은 미국 5년 국채 금리에 57bps를 더한 수준으로 발행됐으며, 이는 공정 가치 대비 3bps 낮은 신규발행 프리미엄(NIP)을 기록했다. 기업은행의 외화채권 발행 사상 최저 스프레드로, 특히 5년 고정금리부채권의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가을 단풍놀이와 함께 가을 피크닉인 ‘추크닉(秋+피크닉)’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가을 제철 과일을 활용한 식음료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풀무원다논의 발효유 브랜드 ‘액티비아’는 가을철 대표 과일인 사과를 활용한 ‘액티비아 병 사과’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사과의 상큼함과 프로바이오틱스 및 아연을 함께 섭취할 수 있어 건강한 선택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병 타입으로 휴대가 간편해 야외 활동 시 적합하다. 이디야커피는 가을을 맞아 배, 모과, 사과 등을 활용한 시즌 음료 3종을 출시했다. 배 모과차, 홍시 동동 수정과, 흑임자 크림라떼로 구성된 이 음료들은 가을의 향취를 담고 있어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카페 아티제는 전남 영암의 무화과를 활용한 케이크 2종을 한정 판매 중이다. 무화과 쇼트케이크와 화이트 롤 케이크로, 가을 제철 과일을 강조한 제품이다. 투썸플레이스는 전통 음료인 ‘우리 쌀 식혜’와 ‘우리 대추 수정과’를 출시했다. 경북 경산산 대추를 활용한 대추칩을 올린 수정과가 특징으로, 전통적인 가을 음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이처럼 다양한 브랜드들이 가을을 맞아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가 최신 인터넷 현황 보고서에서 금융 서비스 업계가 2년 연속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디도스(DDoS) 공격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 업계는 전체 DDoS 공격의 34%를 차지하며, 민감한 데이터와 고가의 거래로 인해 해커들에게 매력적인 표적이 되고 있다. 보고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은 지정학적 긴장 속에서 해킹 단체들의 활동이 증가했음을 지적했다. 특히 금융 서비스 업계는 피싱 공격에도 취약하여, 위조 도메인을 통한 공격이 전체의 68%를 차지했다. 아시아-태평양(APJ) 지역의 금융 서비스 업계는 급속한 디지털화와 낮은 보안 인식으로 인해 피싱 위험이 특히 높다고 아카마이는 분석했다. 아카마이는 AI 기반의 최신 보안 기술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아트테크 업체 갤러리K(갤러리케이, 의장 김정필)의 사기 의혹이 일파만파 커지면서 갤러리K와 업무제휴를 맺었던 롯데렌탈(089860, 대표이사 최진환) 등 제휴사에도 불똥이 튀고 있다. 갤러리K는 롯데렌탈 등 다수 렌탈사와 업무제휴를 맺고 ‘아트노믹스 장기할부 상품’을 출시해 최대 1억, 최장 36개월 할부로 판매해온 것으로 알려진다. 본지 취재에 따르면, 최근 갤러리K로부터 피해를 입은 사람들이 모인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롯데렌탈 묘미를 통해 갤러리K와 계약했는데, 이후 피해를 입었다는 글들이 게시됐다. 피해를 입었다는 한 네티즌은 “롯데렌탈 묘미를 통해 갤러리K와 계약하고 할부금을 계속 내고 있었다. 사태가 터진 후 갤러리K로부터 투자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데 묘미에 렌탈 비용이 계속 나가서 억울했다. 혹시 모르는 분들은 빠르게 조치할 필요가 있다”고 호소했다. 지난달 14일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에도 비슷한 민원이 접수됐다. 민원인은 “롯데렌탈 묘미를 통해 아트테크 상품을 계약했지만 7월부터 약속된 렌탈 비용이 들어오지 않고 있다. 많은 이들이 피해를 보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책임이 있는 갤러리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국민의힘 김소희 의원(환경노동위원회)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 부처의 역할 강화를 골자로 하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김 의원은 기후변화로 인한 위기를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환경부를 ‘기후환경부’로 명칭을 변경하고, 해당 부처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시키는 내용의 법안을 23일 공개했다. 이번 법안은 기후변화가 일상에 미치는 영향이 심화됨에 따라, 정부가 보다 종합적이고 일원화된 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김 의원은 특히 올해 여름을 강타한 국지성 폭우와 연이은 폭염 등을 언급하며, 기후위기로 인한 농업 및 수산업 피해는 물론 식료품 물가 상승, 인명 및 재산 피해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김 의원은 “지금까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개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방식은 한계가 있었다”며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기후위기 대응 전략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감안할 때, 각 부처의 정책을 통합하고 조정할 수 있는 거버넌스 체계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번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기후환경부는 온실가스 감축 목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주니퍼 네트웍스(Juniper Networks)는 새로운 Wi-Fi 7(802.11be) 표준을 지원하는 AI 네이티브 네트워킹 플랫폼의 신제품을 공개했다. 이번 플랫폼은 향상된 처리량, 낮은 지연, 넓은 커버리지, 신뢰성 등을 제공하며, 기업이 Wi-Fi 7으로 원활히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주요 신제품으로는 AP47 시리즈 액세스 포인트와 Hi-Power(고 전압 POE 지원) EX 시리즈 스위치가 포함된다. AP47 시리즈는 Wi-Fi 7 성능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듀얼 5GHz 또는 6GHz 작동, 트라이밴드 지원, 그리고 전용 스캐닝 라디오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BLE(Bluetooth LE)와 UWB(Ultra Wideband)를 지원해 위치 기반 서비스와 IoT 연결을 제공한다. EX 시리즈 스위치는 Wi-Fi 6E 및 Wi-Fi 7 AP를 지원하며, 최대 3600W의 전력을 제공하는 고성능 스위칭 솔루션으로, 고전력 IoT 기기 및 무선 AP의 대규모 배포를 지원한다. 특히, 주니퍼 미스트(Juniper Mist) 클라우드를 통해 관리되어, 네트워크 인프라의 에너지 효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사이버 보안 기업 프루프포인트(Proofpoint)와 신원보안 전문기업 사이버아크(CyberArk)가 글로벌 기업들의 신원보안 강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두 회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다양한 사이버 보안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통합 기능과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최근 디지털 전환과 클라우드 기술 확산으로 인해 기업의 인프라와 업무 방식이 변하면서 신원보안이 보안의 핵심 요소로 떠올랐다. 기존의 엔드포인트 및 네트워크 보안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기업들의 신원보안 공격이 크게 증가했다. 기업의 93%는 지난 1년 동안 2건 이상의 신원보안 규정 위반을 경험했으며, 새로운 공격 수법이 등장하면서 신원보안에 대한 대비가 더욱 중요해졌다. 신원 정보는 공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타깃으로, IT 권한계정 관리자, 기밀 정보 접근 권한을 가진 임원, 개발자 등이 주요 공격 대상이 된다. 이에 따라 신원보안을 중심으로 한 보안 전략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프루프포인트와 사이버아크의 통합 기능은 다층적 방어 체계를 통해 높은 액세스 정확도를 유지하며 공격을 방지할 수 있는 정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글로벌 클라우드 솔루션 기업 야놀자클라우드는 문병덕을 최고재무책임자(CFO)로 선임했다고 23일 밝혔다. 문병덕 신임 CFO는 삼일회계법인에서 국내외 기업의 회계감사와 재무 자문을 담당해온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로 호스피탈리티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중심으로 활동해왔다. 문병덕은 2021년 야놀자에 합류해 최고회계책임자(CAO)로서 야놀자 및 자회사의 회계와 세무 관리를 총괄했다. 이번 선임은 야놀자클라우드가 글로벌 AI 서비스 사업 확장을 이어가면서 재무 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결정으로 해석된다. 야놀자클라우드는 현재 전 세계 200여 개국에서 AI 기반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문병덕 CFO는 향후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한 재무 관리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금융위원회(위원장 김병환, 이하 금융위)가 기업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에 대한 재계의 우려에 대해 관련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19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기업 간담회’를 개최하고, 올해 5월부터 8월까지 진행된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공개초안’에 대한 의견 수렴을 마무리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삼성전자, 현대차, SK 등 주요 기업들과 함께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특히, 이번 간담회에서는 지속가능성 가이드라인 초안의 핵심 중 하나인 ‘기후 관련 정보의 의무 공시’에 많은 관심이 쏠렸다. 기업들, ‘기후 공시’의 필요성 인정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모두 발언에서 이번 의견수렴 기간 동안 국내외 46개 투자자와 106개 기업, 10개 경제·산업단체로부터 다양한 의견이 접수됐다고 밝혔다. 그중 눈에 띄는 점은 다수 기업이 기후 공시의 필요성에 공감했다는 것이다. 응답한 106개 기업 중 96개 기업이 기후 공시의 의무화를 찬성했다. 기업들의 반응은 단순히 국내 규제를 넘어, 글로벌 투자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특히, 노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The CEO of Gallery K, an art tech company currently under investigation for alleged Ponzi scheme activities, has reportedly fled the country. Kim Jung-pil, the chairman of Gallery K, has escaped abroad. According to insiders at Gallery K, CEO Kim Jung-pil fled to the Philippines last month, just as a group lawsuit from investors was imminent. In response, the police have intensified their investigation, conducting a raid on Gallery K's headquarters in Sinseol-dong on the 13th. The planned merger and acquisition with Meta Ventures is now expected to fall through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GalleryK, an art investment platform under fraud allegations, is facing new challenges as its CEO, Kim Jung-pil, has reportedly disappeared just before the company’s merger and acquisition deal. GalleryK was expected to finalize its acquisition by Meta Ventures after negotiations with creditors, but CEO Kim's sudden disappearance at the signing stage has stalled the process. The emergency task force at GalleryK expressed frustration, saying Kim's absence has made the company’s recovery even more difficult. Meanwhile, reports suggest that on the morning of the 13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Lotte Shopping has recently been listed as failing to meet the financial authorities' management guidance standards, raising concerns over its financial health. Following the Timon crisis, the FSS identified companies that did not meet electronic financial management regulations, and Lotte Shopping was among them. In response, Lotte Shopping announced that it has submitted a management improvement plan and will maintain regular communication with financial authorities. Despite Lotte Group's company-wide emergency management efforts, Lotte Shopping's recovery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