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23 (일)

  • 구름많음동두천 11.7℃
  • 구름많음강릉 13.8℃
  • 구름많음서울 13.0℃
  • 구름많음인천 12.4℃
  • 구름많음수원 12.5℃
  • 구름조금청주 12.8℃
  • 구름조금대전 11.7℃
  • 구름많음대구 11.6℃
  • 구름조금전주 12.3℃
  • 맑음울산 13.6℃
  • 맑음광주 12.7℃
  • 맑음부산 12.8℃
  • 구름많음여수 12.9℃
  • 구름조금제주 15.3℃
  • 구름많음천안 11.0℃
  • 구름조금경주시 8.7℃
  • 맑음거제 12.2℃
기상청 제공

경기

광명시, 도심 첫 딸기 스마트팜 개소… 지속가능한 도시농업 기반 구축

22일 옛 업사이클아트센터에서 ‘광명동굴 딸기 스마트팜’ 개소

 

데일리연합 (SNSJTV) 송은하 기자 | 광명시가 농업생산·일자리·관광이 선순환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농업 기반을 구축했다.

 

시는 지난 22일 광명동굴 근처 옛 업사이클아트센터(가학로85번길 142)에서 ‘광명동굴 딸기 스마트팜’ 개소식을 열었다.

 

‘광명동굴 딸기 스마트팜’은 총 206㎡ 규모로, 내부에는 145㎡ 규모의 밀폐·수직형 스마트 재배 시설과 체험·전시실, 교육장을 갖췄다. LED 조명, 자동화 시스템, 온·습도 센서 등 스마트농업 기술을 적용해 기후와 관계없이 최적의 환경에서 딸기를 생산한다.

 

스마트팜에서 생산한 딸기는 수확 체험, 스마트팜 키트 제작, 딸기 디저트 만들기 등 시민 대상 체험 프로그램에 활용한다.

 

재배, 프로그램 운영 등 스마트팜 운영 인력은 지역 내에서 채용해 도시농업 기반 확충과 함께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또한 스마트팜 인근 관광명소인 광명동굴과의 연계해 새로운 관광 프로그램 개발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기대된다.

 

이로써 광명시는 기후위기에 대응한 경쟁력 있는 농업생산 체계를 갖추는 한편, 교육·체험을 통한 시민 참여 확대와 지역경제 선순환을 함께 이루는 새로운 도시농업 모델을 마련하게 됐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번 스마트팜은 미래 농업환경 변화에 선제 대응하고, 지역과 함께 운영·성장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농업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며 “도시농업이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광명동굴 딸기 스마트팜’은 생산량과 시스템 안정성 확인을 위해 올해 시범운영을 거쳐 내년 3월부터 정식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한편, 광명시는 하안동 아파트형 공장(하안로 228) 내 딸기 모종을 생산하는 ‘아파트형 공장 스마트팜’도 만들었다. 이곳에서 생산한 딸기 모종은 광명동굴 스마트팜에 공급하고, 식물공장이나 지역 농가에도 보급·판매해 안정적인 농업생산 체계를 뒷받침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해양수산부, 케이푸드(K-Food) 수출을 선도하는 김의 질주! 역대 최초로 10억 불 돌파

데일리연합 (SNSJTV) 박영우 기자 | 해양수산부는 2025년 한국의 김 수출 실적이 역대 최초로 10억 불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2025년 우리나라 김 수출 실적*은 11월 20일 기준으로 10.15억 불(약 1.5조 원)을 달성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우리나라 김(K-GIM)의 품질 경쟁력이 높아짐과 동시에 전 세계적 수요도 함께 증가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최근 몇 년간 김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북미와 유럽을 비롯한 주요 해외시장에서의 판매 증가가 김 수출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해양수산부는 김 수출 활성화를 위해 ▲김 양식장 신규면허 2,700ha 확대(총 66,204ha) 등 생산 기반 확충, ▲가공설비 현대화 등 가공 역량 확대, ▲해외 판로 개척, 국내외 물류 기반시설, 국제 인증 취득 지원 등 수출 단계까지 김 산업 전반에 대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왔다. 특히, 해외 소비자의 식습관과 입맛에 맞춘 김스낵, 조미김 등을 개발하고, 한류 연계 마케팅을 확대해 수요를 이끌어내는 데 주력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올해 우리나라 김 수출 실적 10억 불 돌파는 해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