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빗코탑-한국신지식인협회, 핀테크 기술을 통한 사회공헌 MOU 체결

쿠션테크 이디파이(e-Difi) 기술을 활용한 블록체인 산업 발전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김용두 기자 |  박성우 빗코탑 대표와 김종백 한국신지식인협회 회장이 공동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 확대에 나선다.

 

박성우 대표와 김종백 회장은 23일 서울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한국신지식인협회 대회의실에서 효율적 업무진행과 사회공헌 확대, 상호발전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종백 한국신지식인협회 중앙회장, 박성우 빗코탑 대표, 윤영록 쿠션테크 CCO, 이동용 협회 자문위원 등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한국신지식인협회는 협회원 및 회원사와 함께 4차 산업과 블록체인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홍보와 사회공헌활동 참여를 지원한다.

 

빗코탑은 최근 큰 이슈가 되고 있는 블록체인과 핀테크 등을 위시한 이디파이(e-Difi) 기술을 바탕으로 선도적 금융지식의 전달 및 사회적 가치 공유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박성우 대표는 지난 3월 30일 더케이호텔 서울에서 열린 프로젝트`쿠션` VIP컨퍼런스 및 4월 13일 삼성동 그랜드인터콘티넨탈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개최된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를 통해 K수출 증대와 이커머스 시장 활성화를 위한 `쿠션`프로젝트를 발표한 바 있다. `쿠션`프로젝트는 빗코탑 운영을 통해 축적된 선진금융 시스템의 노하우를 접목한 글로벌 결제 플랫폼 이디파이(e-Difi) 서비스로 쿠션테크가 운영하고 있다.

 

김종백 회장은 “이번 자매결연을 통해 전국 7,000여명의 신지식인들이 4차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금융산업을 경험할 수 있게 됐다”며 “오늘 업무협약식이 사회공헌과 금융산업의 본격적인 융합을 알리는 새로운 선례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소회를 밝혔다.

 

박성우 대표는 “많은 노하우와 경험이 있는 신지식인들의 독창적인 지식이 금융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가치를 사회에 전하는 공헌활동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박성우 대표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핀테크와 이를 통한 금융시장 선도화를 공로로 금융분야 제36회 신지식인으로 선정됐다. 인증식은 오는 28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소재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개최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가속화 위한 윤리적 문제 해결책 모색 중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AI 기술 발전과 함께,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해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AI 시스템의 편향성, 프라이버시 침해, 일자리 감소 등의 우려가 제기되면서, 기술 발전과 사회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 알고리즘의 투명성 확보와 편향성 제거를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많은 AI 시스템은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는데, 이 데이터 자체에 편향성이 존재할 경우 AI는 차별적인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 및 처리 과정에서 편향성을 최소화하고, 알고리즘의 의사결정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방안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또한, AI 기술의 오용 방지를 위한 규제 마련 또한 시급한 과제이다. AI를 악용하여 개인 정보를 침해하거나,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는 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AI 기술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이를 준수하지 않는 행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