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극심한 폭염으로 인해 사회적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대책이 미흡하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장마 이후 맹렬하게 기승을 부리는 폭염으로 인해 노인, 저소득층, 거리 노숙인 등 취약계층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열사병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냉방 시설이 부족한 주택에 거주하는 저소득층의 고통이 심각한 수준이다.
하지만 지자체별 지원 체계의 불균형이 문제로 지적된다. 일부 지자체는 폭염 대비 냉방 시설 지원, 무료 급식 제공 등 적극적인 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지원이 미흡하여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산 부족, 인력 부족 등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폭염 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취약계층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단순한 물품 지원을 넘어, 개인별 맞춤형 지원, 지속적인 건강 관리, 폭염 정보 제공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또한, 지자체 간의 지원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여러 시민단체들은 폭염 피해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자발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개입과 예산 투입이 절실한 상황이다. 정부는 이에 대한 대책 마련과 함께, 지원 체계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앞으로 폭염이 더욱 강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대책 미흡은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통해 모든 시민이 안전하고 건강한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 시민사회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