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6 (목)

  • 맑음동두천 4.5℃
  • 맑음강릉 8.1℃
  • 맑음서울 8.7℃
  • 맑음인천 10.1℃
  • 박무수원 5.7℃
  • 박무청주 7.8℃
  • 박무대전 6.1℃
  • 박무대구 8.2℃
  • 박무전주 7.5℃
  • 박무울산 11.8℃
  • 맑음광주 10.0℃
  • 맑음부산 14.4℃
  • 맑음여수 14.4℃
  • 구름조금제주 15.9℃
  • 맑음천안 3.5℃
  • 맑음경주시 7.7℃
  • 맑음거제 10.8℃
기상청 제공

경북

김민기 생전에 울릉도에 남긴 노래 "내 나라 내 겨레"

"보라 동해에 떠오르는 태양, 우리가 간직함이 옳지 않겠나...", 우리 민족 정서와 자부심이 담긴 곡, 경북도‧울릉군, 2020년 '섬의 날' 울릉도 안용복기념관에 세워, "그가 남긴 음악과 메시지, 우리 곁에 영원히 남아 울림 주기를"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김재욱 기자 | '내 나라 내 겨레'와 '아침 이슬', '상록수'를 쓰고 부른 대한민국 음악계의 거장, 김민기 씨가 위암 투병 끝에 지난 22일 향년 73세로 별세했다.

 

민주정신의 상징과도 같았던 고 김민기 씨의 저항가요는 시대를 초월해 사랑받아 왔듯이 고인을 추모하는 물결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그가 생전에 남긴 노래비가 주목을 받고 있다.

 

경북 울릉군 안용복기념관에 자리한 김민기 씨의 노래비는 지난 2020년 8월 8일 '섬의 날'을 맞아 경상북도와 울릉군이 세웠다.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해가 뜨는 울릉도에 우리 민족의 정서와 자부심을 담고 있는 김민기 씨의 '내 나라 내 겨레' 노래비를 세워 동해의 가치와 희망을 후대에 전하고자 한 것이다.

 

당시 김민기 씨는 기념비 설치 장소로 독도가 가장 잘 보이는 곳을 원해 안용복기념관 앞마당에 세우게 됐다고 한다.

 

하지만 노래비 제막식 당일, 강한 비로 인해 김민기 씨는 울릉도에 입도하지 못했다. 노래비 설치를 주도했던 김남일 경북문화관광공사 사장(당시 경북도 환동해본부장)은 그 후 대학로 소극장 '학전'으로 찾아가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감사패를 김민기 씨에게 전달하며 그의 공로를 기렸다.

 

고 김민기 씨는 당시 "저의 음악이 아름다운 울릉도와 독도를 위해 쓰일 수 있어 영광이다. 우리의 섬과 바다를 지키고 가꾸는 일에 작은 힘이나마 보태게 되어 기쁘다"라고 소회를 밝혔다고 한다.

 

김남일 경북문화관광공사 사장은 "그가 남긴 음악과 메시지가 영원히 우리 곁에 남아 울림을 주기를 바란다"며 "고 김민기 씨가 사랑한 자연과 음악의 혼이 깃든 울릉도와 독도를 방문하는 것은 그를 추모하는 의미 있는 여정이 될 것"이라고 말하며 그의 명복을 빌었다.

 

"내 나라 내 겨레"는 '보라 동해의 떠오르는 태양 누구의 앞길에서 훤히 비치나 눈부신 선조의 얼 속에 고요히 기다려온 우리 민족 앞에... (중략) 우리가 간직함이 옳지 않겠나'라는 가사로 많은 이들의 맥박을 힘차게 뛰게 하는 노래다.

 

고 김민기 씨는 1970년 '아침이슬'로 데뷔해 '상록수' 등을 발표했으며, 1984년에는 민중가요 노래패 '노래를 찾는 사람들'을 결성해 음반을 발매했다. 1991년부터는 대학로 소극장 '학전'을 운영해왔고, 뮤지컬 '지하철 1호선' 등 33년 동안 300여개 작품을 무대에 올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김윤덕 국토교통부장관, 서리풀 지구 방문·신속한 지구지정 지시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11월 5일 오후 서울 서리풀 지구를 방문해 사업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신속한 사업 추진을 지시했다.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서리풀 지구(2만호)는 지난 ’24년 11월 신규택지 후보지로 발표된 이후 ’29년 첫 분양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김 장관은 서리풀 지구를 방문해 사업 현장을 면밀하게 살피는 동시에, 사업 개요·향후 계획 등 구체적인 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 이후, “최근 서리풀 지구의 지구지정 시기를 ’26.상반기에서 ’26.3월로 조정했으나, 보다 적극적인 조기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관계기관 사전협의 등 단계별 절차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며 ’26.1월 경 지구지정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보상 조기화를 위한 '공공주택특별법'이 법사위에 계류 중으로, 11월 중 본 회의를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개정 즉시 12월 초 기본조사에 착수할 수 있도록 사전준비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사업과정 전반에서 주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주민들의 의견을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