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19 (수)

  • 맑음동두천 -4.4℃
  • 맑음강릉 1.3℃
  • 맑음서울 -1.2℃
  • 맑음인천 -0.5℃
  • 맑음수원 -2.5℃
  • 맑음청주 2.2℃
  • 흐림대전 2.7℃
  • 흐림대구 2.6℃
  • 흐림전주 3.7℃
  • 맑음울산 0.1℃
  • 흐림광주 4.6℃
  • 맑음부산 3.9℃
  • 맑음여수 4.4℃
  • 제주 9.2℃
  • 맑음천안 -1.5℃
  • 맑음경주시 -2.2℃
  • 구름많음거제 3.1℃
기상청 제공

경북

경북문화관광공사, 빅데이터로 '고령관광의 미래' 그린다

지역특화 콘텐츠 강화 등 3개의 관광활성화 과제 제시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김재욱 기자 | 경북문화관광공사는 28일 고령군청에서 '빅데이터로 본 고령관광'분석 결과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빅데이터와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고령군의 관광여건 분석 진단과 함께 최근 3년간 고령을 방문한 관광객 대상 설문 조사 및 관광 종사자 인터뷰,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통해 도출된 고령 관광 활성화 방안을 공유했다.

 

빅데이터 분석결과 고령군 방문객 수는 코로나19 이후에도 지속 증가 추세였다. 22년도 내비게이션 검색 최고순위를 골프장이 차지하였고 관광지출액 중 여가서비스업(골프장) 비중이 54.0%로 경북 평균 17.2%에 비해 매우 높아 골프장이 고령군의 주요 방문 목적으로 나타났다.

 

관광객 설문에서는 고령군 연상키워드로 '대가야', '딸기' 순으로 언급됐으며, 가장 만족한 관광지는‘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28.4%)’, 만족한 이유로는 '역사', '아이' 키워드가 다수 등장했다.

 

고령군 방문횟수는 '5회 이상(24.2%)'이 2위, 방문 이유는 '거주지와 가까워서(41.8%)'가 1위를 차지하여 인근 대구에서 아이를 동반한 가족이 고령을 자주 방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공사에서는 관광콘텐츠 차별성과 인지도 제고 및 일상관광 활성화 전략방안으로 지역특화 콘텐츠 강화 등 3개의 관광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를 선정했다.

 

△ 지역특화 콘텐츠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가야금 버스킹, 인터랙티브 도보투어, 능멍 열기구, 자전거 이용객 편의시설 '고령 라이브 헤븐' 등을 제안했다.

 

△ 관광 홍보·마케팅 전략으로는 ESG 연계 자전거길 완주 기부캠페인, 대가야축제 연계 파크골프대회 등을 제시했다.

 

△ 지역상생 및 인구감소 대응을 위해서는 고분군 주말 야외 시네마 '로얄 가야 시네마', 고령군 스토리 맛집 지도, 고령군 관광 캐릭터 고고스트링밴드 활용 가족단위 투어버스 개발 등의 사업을 도출했다.

 

공사 김성조 사장은 "코로나를 지나며 변화된 관광 트렌드를 파악하고 빠르게 관광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 분석 및 지역 맞춤형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경북 시·군 및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관광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여 더 많은 관광객이 경북을 찾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공사에서 2년째 이어오고 있는 '빅데이터로 본 경북관광'사업은 올해 상주시, 영양군, 영주시를 추가로 분석할 예정이며 현재 2024년 참여 시·군을 모집하고 있다. 현재까지 발간된 보고서는 공사 홈페이지(www.gtc.co.kr) 자료실에서 볼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SDGs 실천 프로젝트로 청소년들 한자리에…‘2025 SIA 월드 컴피티션’ 성료

데일리연합 (SNSJTV) 박해리 기자 | 오는 11월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리는 국제청소년문화교류연맹 컨퍼런스 ‘2025 SIA SDGs Youth Conference in Korea’를 앞두고, 국제 청소년 실천 프로젝트 경연대회 ‘SIA(Students in Action) World Competition’이 17일 오후 1시 코리아디자인센터 컨벤션홀에서 개최됐다. SIA(Students in Action)는 청소년이 UN SDGs(지속가능발전목표)를 기반으로 실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국제 활동 프로그램이다. 참가 학생들은 수개월 동안 프로젝트를 준비해 한국에 모여 서로의 성과를 공유하고 협업하며 경연을 펼친다. 특히 SIA 프로젝트는 단순한 연구나 발표를 넘어 실제 학교·지역사회에서 직접 실행된 행동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올해 2025년에는 한국과 몽골을 중심으로 총 6개 팀, 38명의 청소년이 환경·교육·약물(마약)·ESG 등 다양한 주제를 선정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양국 청소년들은 올 상반기부터 온라인 토론과 교류를 이어 왔으며, 지난 여름에는 한국 청소년이 몽골을 방문해 현지 청소년들과 함께 캠페인·실천 활동을 수행했다. SIA 프로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