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기구 배터리 내부 은닉 수범 사용 범행
총책·금도매상 등 3명 구속, 해외 도주자 추적
인천본부세관은 지난 해 4월 부터 11개월에 걸쳐 금괴 총 1880kg, 시가 958억원 상당을 밀수입한 국제 금괴밀수조직 16명을 검거했다.
이에따라 밀수총책 A某(33)씨 및 B某(34)씨, 밀수 금괴 취득자 C某(52)씨 등 3명은 인천지방검찰청에 구속 고발하고, 통관책, 판매책, 자금운반책 등 10명은 불구속 고발했다.
또한 해외로 도피한 해외공급책 3명은 인터폴 수배 후 국제공조를 통해 추적 중이다.
세관은 지난 해 8월 경 홍콩에서 일본으로 금괴를 밀수입하려다 일본에서 적발된 금괴 밀수조직이 한국인과 관련돼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
수입화물 정밀분석을 통해 이들 조직이 홍콩에서 한국으로도 금괴를 밀수입하고 있다는 정황을 포착하고 신속하게 수사에 착수해 1년여에 걸친 추적ㆍ조사로 총책을 구속하는 등 밀수조직을 일망타진했다.
이들 밀수조직은 홍콩으로부터 수입하는 조명기구 등에 포함된 대용량 배터리 내부에 1kg 짜리 금괴를 세 조각으로 나눠 끼워 넣은 다음, 재조립.포장해 정상적인 수입물품인 것처럼 위장하는 수법으로 한번에 1kg 중량의 금괴를 10∼30개까지 대량으로 밀수입했다.
이들은 수사기관의 단속을 피하기 위해 밀수조직원들 끼리도 신상을 공유하지 않은 채 총책이 각 조직원들과 금괴의 인수, 판매, 처분, 자금운반 등 단계마다 스마트폰 메신저로만 개별적으로 연락을 주고받으며 철저히 점조직 형태로 운영됐다.
또 이들 조직은 밀수한 금괴를 서울 종로에 있는 금 도매업자에게 판매하면서 현금으로만 거래했고, 금괴 판매자금은 다음 금괴 구입대금으로 사용하기 위해 홍콩으로 밀반출했다.
특히 이들은 홍콩에 거점을 둔 국제적인 밀수 조직으로 일본의 소비세 인상에 따라 밀수 금 수요가 증가하자 홍콩에서 일본으로도 동일한 수법으로 금괴를 밀수하다가 일본세관에 적발되기도 했다.
세관은 “앞으로도 밀수 수익 등을 노린 다양한 수법의 금괴 밀수 시도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여행자, 특송화물, 국제우편 등 우범 경로별 맞춤형 검사 강화로 통관단계에서 금괴 적발 역량을 높일 것”이라며, “일본, 홍콩 등 해외 관세당국과의 국제공조를 통해 운반책이나 단순 가담자 검거는 물론, 밀수 총책, 자금책, 취득판매책 등 국제 밀수조직 전체를 일망타진하고 범죄수익도 끝까지 추적하는 등 강력한 단속활동을 펼쳐 나갈 것”이라고 했다.
/전건주 기자 chonchu@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