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인슈타인, ‘중국에서 과학이 발생하지 않은 것이 필연적, 놀랄 필요가 없어’
근대이래 중국이 외국인 능욕을 겪을 대로 겪은 것이 무기 장비에서 표현되었는데 실제상으로는 과학기술 낙후가 초래한 필연 결과였다.
그러나 이상한 것은 중국이 기타 국가들에 비해 인구가 더 많을 뿐만 아니라 역사도 더 길었는데 무엇때문에 중국에서 과학이 발생하지 못하고 근대이래 서방에서 과힉기술이 오히려 번성했는가?
이 문제에 대한 아인슈타인은 중국에서 과학이 발생하지 않은 것은 필연적인 것이며 조금도 놀랄 것이 없다고 확실하게 대답했다.
8월 23일 중국 신화망(新华网)에 따르면 지난세기 일찍 어떤 사람이 아인슈타인을 보고 ‘무엇때문에 중국에 과학이 없었는가?’고 물었다. 학생에 대한 책임을 지는 태도를 가지고 아인슈타인은 심지어 상세한 편지를 통해 자기의 견해를 서술했다. 그는 서방 과학의 출현은 기하학과 문예부흥이 출현할 당시 실험으로 사물간 연계를 찾는 사상에서 기인했다고 인정했다.
전자는 사실상 사람들을 위해 논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후자는 사람들이 실험 의식을 가지게 했다. 바로 이 두개 필수적 요인이 서방 과학의 출현과 발전을 추진했다. 중국에서는 비록 역사가 유구하고 인구가 많지만 그들은 철학차원에서 줄곧 이 두 가지를 침투하지 못했다. 그리하여 중국에 과학이 없게 된 것도 매우 정상적인 결과다.
그러면 원인은 정말로 이러했는가? 사실상 사람들은 공정하게 사고할 수 있다. 중국의 저명한 유교학, 도학 등 다수 연구의 주체는 사람이고 이에 따라 사람들이 자아를 인식하게 하며 정확하게 인생을 대하는 목적에 도달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학문은 서방과 같은 사상 시스템을 별로 언급하지 않았을뿐만 아니라 심지어 많은 옛사람들은 실험을 하는 것이 정당한 직업에 종사하지 않는 행위라고 인정했다. 예를 들면 왕망(王莽)의 과학기술에 대한 중시였다. 아인슈타인은 초대형 지력 상수 소지자로서 중국에 과학기술이 없는원인과 같은 문제에 대한 그의 대답은 매우 정확한 것이다.
그러나 비록 아인슈타인이 서방에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은 그러한 사상이 있었다고 말했지만 그는 또 이 두 가지가 근근히 과학 출현의 필요 조건일뿐 이 두가지가 있다고 하여 과학이 틀림없이 출현한다는 것은 아니라고 인정했다. 심지어 그는 서방과학의 출현은 일정한 우연성을 가지고 있었다고 인정했다. 중세기 시대 기독교가 비록 서방에서 출현한 철학과 기하학 관련 도서를 모두 소각해 버렸지만 다행히도 이슬람 번역중 이 차원의 기록이 있었다. 바로 이런 우연한 일치성이 서방의 형식 논리시스템을 보존할 수 있게 했다. 그외 서방 과학이 진리를 찾는 과정에서 매번 돌파가 모두 비교적 순조로웠다. 비록 큰 병목 문제에 부딪쳐도 매우 빨리 해결했다. 이 차원에서 보면 중국에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두가지 사상 기초가 있었다고 해도 충분하게 좋은 행운이 없는 상황에서 과학이 가능하게 여전히 출현할 수 없었다.
近代以来的中国饱受外国人欺凌,直观表现是输在了武器装备中,而实际是上却是科学技术落后导致的必然结果。不过令人匪夷所思的是,中国相比较于其他国家不但人口众多,历史也要久远的多,为什么中国没有产生科学,而近代以来西方的科技发展却蒸蒸日上呢?爱因斯坦曾经确切地回答过这个问题:中国没有产生科学是必然的,不必有任何的惊讶。
上个世界,曾经有个人问过爱因斯坦,为什么中国就没有科学?抱着对学生负责任的态度,爱心斯坦还详细地写了一封信来描述自己看法。他认为西方科学的出现可以溯源于几何学和文艺复兴时产生的用实验来寻找事物联系的思想。前者实际上是为人们构建了一种逻辑体系,后者使人们有了一种实验的意识,正是这两个必要因素推动着西方科学的出现和发展。而中国,虽然历史悠久,人口众多,但是他们在哲学方面却一直没有参透这两点,因此,中国没有科学也就是很正常的事了。
那么原因难道真的如此吗?实际上,我们可以认真公正地思考一下,我们中国的著名的儒学,道学等大多研究的主体都是人,从而达到让人们认识自我,正确面对人生的目的。这些学问不但很少提到西方的那种思想体系,甚至很多古人还认为搞实验是一种不务正业的做法(如王莽对科技的重视)。爱因斯坦作为一个智商超高的人,中国为什么没有科技这个问题的解答可以说是非常精要了。
不过,虽然爱因斯坦说西方有了前文提到的那两种思想,但是他认为这两点只是科学出现的必要条件,并非有了这两点科学就一定会出现。甚至他还认为,西方科学的出现是带有一定偶然性的。中世纪的时候,基督教虽然曾经把西方出现的哲学和几何学相关图书一烧而尽,但是幸好伊斯兰的翻译中还有着这方面的记录,正是这种巧合,才使得西方的形式逻辑体系得以保存。
除此之外,西方科学在追寻真理的过程中,每一次的突破都是比较顺利的,即使遇到了大的瓶颈问题也很快就被解决了。从这个角度看,既是中国有了前文说的两点思想基础,在没足够好的运气的情况下,科学可能仍旧不会出现。
/新华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