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제

기회와 도전,중한교류의 과거와 미래 담론

국제 학자들, <기회와 도전, 중한교류의 과거와 미래> 담론

--제19회 중국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연변대학에서

6월 29일부터 30일까지 이틀동안 <기회와 도전: 중한교류의 과거와 미래>를 주제로 한 제19회 중국 한국학 국제학술대회가 연변대학에서 진행되었다.

연변대학에서 주최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후원한 이번 대회에 13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연변대학 김웅 교장이 환영사를 올리고 북경대학 한국학연구센터 심정창 주임이 축사를, 연변대학 조선한국연구센터 박찬규 주임이 개막사를 했다. 

또한 한국 건국대학교 김성민 교수, 연변대학 김강일 교수, 절강대학 왕용 교수가 각각 <통일-통일학과 통합적 코리아학의 모색>, <중국과 조선반도의 이익구조 및 중국의 정책선택>, <만력조선전쟁중의 필전(笔战): 필담문헌중의 사용재, 서일관> 등 주제를 둘러싸고 기조연설을 했다.

연변대학 김웅 교장

포럼은 <중한 교류의 과거와 미래>를 주제로 역사 및 철학, 정치외교 및 경제, 한국어교육, 문학 등 4개 분야별로 6개 소조로 나뉘여 총 120여명의 전문가, 학자들이 논문을 교류,토론했다. 그중 한국 학자 25명, 러시아 학자 1명, 중국내 북경, 천진, 산동 등 전국 각지에서 온 중국 학자 90여명이 참가하여 도합 67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연변대학 조선한국연구센터 박찬규 주임

전문가, 학자들은 중국의 한국학 발전의 역사와 현황에 대해 논함과 아울러 다양한 시각과 간 학제적인 방법(多种视角以及跨学科方法)으로 중국내 한국학 각 분야의 발전을 위해 학술적, 응용적 가치가 있는 건설적인 건의들을 제기했다.

정치외교 및 경제분야에서 전문가와 학자들은 <중국과 조선반도: 곤경 및 출로>, <새세기 동북아 평화와 국제합작> 등 주제로 동북아 평화와 번영, 중조, 중한 관계 및 러시아가 조선반도 정세에 대한 입장 등 면에서 깊이있는 토론을 했다. 북경대학 한국학연구쎈터 심정창교수는 내적, 외적, 국외의 시각으로 중한 관계의 방향과 발전에 대해 천명했다.

역사 및 철학 분야에서는 <중한관계의 재구축: 역사를 돌이켜보고 미래를 내다보다>는 주제로 동북아 근대사로부터 유교문화, 법교문화를 포함한 조선반도 민족문화가 동북아 공동 번영 발전중에서 일으키는 중요한 역할에 대해서도 서술했다.

북경대학 한국학연구쎈터 심정창 주임

문학, 한국어교육 관련 분야에서는 <동북아문화교류의 영향 및 인터미디어>란 주제로, <창의와 소통: 한국어교육과 교육기술의 융합이>라는 주제로 교류되었는바 <중국 조선족문화의 혼종성 고찰>, <노년기 죽음과 존엄사>, <4차산업혁명시대의 교육 테크놀로지의 발전 방향 및 한국어교육의 적용 방안>, <‘우리말본’에서 본 한국어의 고유한 특성> 등 논문들은 학자들의 관심을 불어일으킴과 아울러 새로운 시각으로 열띤 토론을 진행했다.

연변대학 조선한국연구센터 서옥란 부주임은 “이번 포럼은 논문의 시각과 방법론이 다양하고 창의적이였으며 국제정치와 력사철학에 대한 론문들이 많이 집중되었고 80후 젊은 학자들이 많이 참여하였다는 것이 특점이였다”고 소결했다.

연변대학 조선한국연구센터 서옥란 부주임

<중국한국학국제학술포럼>의 원명은 <한국전통문화국제학술포럼>으로서 북경대학, 복단대학, 항주대학(합병후 절강대학임), 남경대학, 산동대학, 료녕대학, 북경언어문화대학, 동남대학 등 8개 대학에서 한국학 연구기구를 발기하였다. 1995년부터 2년에 1회씩 개최하던데로부터 한국학 연구에 골몰하는 전문가와 학자들이 점점 늘어났다. 하여 연구 분야의 범위도 역사 문학, 철학, 종교, 언어 등 분야로부터 정치, 외교, 경제, 사회 등 분야로 넓혀 2006년부터 <중국 한국학 국제학술포럼>으로 이름을 바꾸고 해마다 1회씩 개최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국내 80여개, 한국의 50여개 대학과 연구기구의 전문가와 학자들이 포럼에 참가하고 있다.

다음기 제20회 중국 한국학 국제학술대회는 2019년에 남개대학에서 개최된다.

 

/길림신문 신정자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한은, 기준금리 동결…물가 안정 우선, 성장 둔화 우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8일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와 부합하는 결과이나, 최근 경제 성장 둔화 우려와 물가 상승률 둔화세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으로 분석된다.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은 물가 안정에 대한 한국은행의 강한 의지를 반영한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다소 둔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며, 핵심 물가의 상승 압력도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은행은 향후 물가 흐름과 경제 성장 전망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수출 부진과 내수 위축이 지속되면서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하향 조정되고 있으며, 기업 투자도 감소하고 있다. 금리 인상이 경기 침체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금리 동결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향후 경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것임을 시사했다. 물가 안정과 경기 성장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이며, 향후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여 금리 인상 또는 추가적인 동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