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국 지도
산해관(山海关) ‘천하제일관(天下第一关)’
제1임 동삼성 총독은 서세창(徐世昌)
동북역사에는 일찍 ‘발해국(渤海国)’이 있었다. 동북의 역사에 일찍 ‘발해국(渤海国)’이라고 부르는 한 국가가 있은 사실을 아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 서기 698년 말갈족(靺鞨族)인의 속말부족(粟末)인을 주체로 한 민족이 동북지구에 국가 하나를 설립했는데 발해국이라고 불렀다. 최성기에 그들이 통치한 영토가 지금의 넌강(嫩江)부터 숭화강(松花江)하도 일선 이남의 헤이룽장성(黑龙江省) 일부 지구, 지린성(吉林省) 대부분, 랴오닝성(辽宁省), 프리모르스키 크라이(Примо́рскийкрай)의 남반부 및 한반도 북부를 포함했다.
발해국은 ‘고숙신국(古肃慎国)’ 민족기초를 이어 창설한 군주제 다민족 정권으로서 그의 전신은 각개 시기 각기 ‘숙신(肃慎)’, 읍루(挹娄)’, 물길(勿吉)’등 정권이었다. 서기 926년 발해국이 요나라(辽国)에 의해 멸망됐는데 이 국가 존재시간이 짧지 않아 228년이나 됐다.
대청제국이 일찍 한인의 출관과 동북 진입을 금지
대청제국이 입관(入关, 산해관 이남지구 진입)한후 동북지구 만주인의 한화(汉化)를 우려하고 또 만족의 ‘용흥지지(龙兴之地)’보호를 위해 청정부는 장기간 한인의 산해관 출관과 생계유지를 위한 동북지구 진입을 금지했다.
금지방법은 이러했다. 순치 청 황제(清顺治皇帝)가 명령을 내려 명대()의 요동(辽东) 변방 벽을 따라 길고도 긴 ‘유조변(柳条边, 버드나무 변방)’을 구축하여 동북과 중원을 분리시켰다. 유조변 안은 모두 중원으로 취급하고 유조변 밖은 동북으로 된 것이다.
유조변은 동쪽에서 랴오닝 펑청(辽宁凤城)에서 시작하여 서쪽으로는 산해관 아래까지인데 땅에 도랑을 파고 둑을 쌓고 둑에 버들가지를 꼽아 울타리를 구축한후 군대를 주둔시켜 지켰다.
그리고 확실히 공무처리을 위한 출관의 경우에는 관청이 발급하는 인표(印票) 즉 지금말로 동북 통행증을 사용했다. 당시 “기인(旗人, 만인)은 반드시 본기가 병부(兵部)에 발송한 만문표(满文票)를 소지해야 하고 한인은 병부 혹은 관아가 개설한 한문표(汉文票)를 제출해야 했다. “이러한 문표를 발급 받아야 동북에 갈수 있었다.”
그리고 또 인삼, 밍크모피 등 동북 특산이 당시에 만족의 보배로서 절대 휴대하지 못하게 했다.
관동(산해관이동) 출관현상에 동북 한인이 증가
만청(晚清)시기부터 동북의 한인이 증가된 원인은 관동(산해관 출관) 출관에 있었다. 1860년 제정러시아가 ‘아이훈조약(瑷珲条约)’후 동북과 사할린 섬 영토를 탈취하자 청 조정 유식자들이 이전에 한인의 동북행 금지책은 잘못된 것임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잘못됐다고 하는 원인은 조정이 한인의 동북행을 허가하지 않아 동북의 인구가 번영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동북인구가 늘지 못해 외적의 눈독을 일으킨 것이다. 1860년 흑룡강 장군()이 조정에 상소하여 금지령을 개방하고 개간을 하게 하며 이민을 격려하자는 의견이 채납됐다. 그리하여 관동출관과 이민추세가 시작됐다.
이와 동시에 황하 하류 홍수와 가뭄이 빈번히 발생하고 아사자가 벌판에 널렸다 이와 동시에 동북에는 대량의 비옥한 토지가 방치되어 중원지구 농민들이 관동 출관 파도를 일으켰다. 특히 1875~1878년 정무년 특별 기근시기 대량의 중원 이재민들이 살길을 찾아 동북에 가고 조정도 이를 묵인했다. 이로부터 관동 출관이 사회적으로 생활 빈곤자들의 생계 출로로 됐다.
동북인 원적은 산둥(山东)과 허베이(河北)가 다수
당시 관동 출관 이민내원지는 주로 지금의 산시(山西), 산둥(山东), 쟝수(江苏), 허베이(河北), 허난(河南)등 몇개 성이었으며 그중 산둥과 허베이가 가장 많았다.
다시 말하면 오늘의 동북인은 주로 산둥인과 허베이인 후손들이다.
동북은 1907년에야 성 행정구 설치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르는 일은 ‘지린성(吉林省)’,’랴오닝성(辽宁省)’,’헤이룽장성(黑龙江省)’이 역사적으로는 일찍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청조 260여년 시간에 동북은 성을 구분하지 않고 당시 통일적으로 만주(满洲)라고 불렀다. 그리고 1907년에 청 정부가 동북에 성행정기구를 설치했다. 이 사실을 사서는 ‘동북개제()’라고 부른다. 처음에 동북에 흑룡강성(黑龙江省), 지린성(吉林省), 봉천성(奉天省) 등 3개 성을 설치하고 ‘동삼성 총독(东三省总督)’을 통해 동북 3성을 통일적으로 영도했는데 제1임 동삼성 총독은 서세창(徐世昌)이었다.
1929년에 국민정부가 봉천성을 요녕성(辽宁省)으로 개명했다.
동북 일부 방언 어휘는 일본어와 관련
동북에는 한가지 재미있으며 웃지도 울지도 못할 현상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동북의 일부 어회가 일본어에서 기원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동북 방언중 ‘커우서우커우서우(抠搜抠搜)’는 대범하지 못하고 남몰래 행동함을 의미한다. 이 말이 일본어에서는 ‘코소코소(こそこそ,kosokoso)라고 발음되어 동북 방언과 같으며 뜻도 대체로 같이 살금살금 괴이쩍고 부정당하다는 것이다.
또 예를 들면 동북 방언중 하수도 덮개를 표시하는 어휘 ‘마후루(马葫芦)’가 있는데 이것 역시 일본어 ‘만호루(マンホール)’에서 왔으며 ‘만호오루(mannhooru)’라고 발음한다.
가스(嘎斯)’도 일본어 ‘가스(ガス)’에서 기인했다.
그리고 또 동북말중 케이크와 간식 따위 음식물에 대해 ‘가시(咖细)’라는 어휘를 쓴다. 예를 들면 ‘가시 한 봉지를 샀다’,’이것은 서양가시이다.”등.
‘’는 일본어 어휘 ‘(菓子,かし)’에서 비롯됐는데 그 뜻은 간식, 케이크, 과자라는 것이다.
그리고 또 중국 전역에 광벙위하게 퍼진 동북말 ‘강강디(杠杠的)’는 일본어 ‘간간(がんがん,ganngann)’에서 비롯됐는데 발음과 뜻이 모두 ‘당당디(当当的)’, ‘챵챵(锵锵)”이라는 것으로 모두 ‘매우 대단한’모양을 표시한다.
이것은 무엇때문일까? 그것은 바로 일본제국시대 대량의 일본군민들이 동북에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1905년 일러 전쟁후부터 1945년 투항까지 시간이 40년이나 됐다. 일본 식민자들이 동북에 대량의 일본어휘를 가져오고 동북인들에 의해 동북 방언에 융합된 것이다.
01
东北历史上曾经有一个“渤海国”
鲜为人知的是,在东北的历史上,曾经有一个国家,叫做“渤海国”。
公元698年,一个以靺鞨族人的粟末部人为主体的民族,在东北地区,建立了一个国家,叫做渤海国。所统治的领土在极盛期时,包括今嫩江至松花江河道一线以南的黑龙江省部分地区、吉林省大部、辽宁省、滨海边疆区的南半部以及朝鲜半岛北部。
渤海国是一个沿袭“古肃慎国”的民族基础而建立的君主制多民族政权,其前身为各时期的“肃慎”、“挹娄”、“勿吉”等地方民族政权。
公元926年,渤海国被辽国所灭。这个国家存在的时间并不短:228年。
02
大清帝国曾经严禁汉人出关去东北
大清帝国入关之后,由于担心东北地区满族人被汉化,同时也为了保护满族的“龙兴之地”,清政府曾经长期严禁汉人出山海关,进入东北地区谋生。
怎么禁止呢?清顺治皇帝下令,沿着明代的辽东边墙,修筑了一条长长的“柳条边”,以分隔东北和中原。柳条边之内,都算中原;柳条边之外,都算东北。
柳条边东起辽宁凤城,西至山海关下。挖土为沟,堆土为堤。在堤上插上柳条,筑成篱笆,并驻兵把守。
确实有公务需要出关不可以吗?可以的,但是要凭官府发出的印票,也称文票。用今天的话说,就是东北通行证。
当时规定:“旗人须持本旗固山额真送牌子至兵部起满文票,汉人则呈请兵部或随便印官衙门起汉文票。”要领取了文票(通行证),才能去东北的。
还有东北特产诸如什么人参、貂皮之类的,那些在当时,都是满族的宝贝,都是绝对不允许夹带的。
03
闯关东现象使东北汉人多起来
那么为什么到了晚清时期开始,东北的汉人开始多了起来呢?
答案是:闯关东。
1860年,面对沙皇俄国在《瑷珲条约》之后对东北与库页岛的领土的侵夺,清廷中的有识之士开始认识到:以前禁止汉人去东北的国策,是错的。
为什么是错的呢?因为你不准汉人去东北,东北的人丁就无法兴旺。东北人丁不兴旺,就容易引起外敌的觊觎。
1860年,黑龙江将军上疏朝廷,呼吁开禁放垦,鼓励移民,意见获得采纳。
于是,闯关东移民潮就开始了。
与此同时,黄河下游水旱频繁,饿殍遍野。此时东北却有大片肥沃土地闲置,开始使中原地区的农民涌起闯关东的浪潮。尤其是1875-1878“丁戊奇荒”时期,大批中原灾民出关求生,闯关东。朝廷也默许。从此,闯关东成为社会上生活困难者谋生的常见出路。
04
东北人祖籍山东和河北的最多
那么,当年闯关东的人,都是哪里的人居多呢?
当时闯关东的移民源地,主要是现在山西、山东、江苏、河北、河南几个省,其中以山东和河北为最多。
换句话说,今天的东北人,主要都是山东人和河北人的后代。
05
东北直到1907年才设置的省份
许多人不知道的是,“吉林省”、“辽宁省”、“黑龙江省”在历史上,曾经是不存在的。
在清朝260多年的时间里,东北是不分省的,当时统称满洲。
1907年,清政府才开始在东北设省。这件事,史称“东北改制”。在东北,设了三个省:黑龙江省、吉林省、奉天省。
并设立“东三省总督”,统领整个东北三省。第一任东三省总督,就是徐世昌。
1929年的时候,国民政府将奉天省,改名为辽宁省。
06
东北部分方言词汇与日语有关
东北还有一个有趣的、令人啼笑皆非的现象是,东北方言的某些词汇,是源自于日语。
例如,东北方言中的“抠搜抠搜”,表示不大方、偷偷摸摸。这个词在日语里面,读作こそこそ(kosokoso)。语音和东北方言相同,意思也大致一样,是偷偷摸摸、鬼鬼祟祟的意思。
例如,东北方言中的表示下水井盖的“马葫芦”一词,来自日语“マンホール”,读作(mannhooru)。
表示燃气、煤气的“嘎斯”也是来自日语“ガス”,读作(gasu)。
再如,东北话中表示某种糕点、点心之类的食物,有些地方用“咖细”一词。譬如,说“买了一包咖细”,“这是西洋咖细”等等。“咖细”读成kǎxi,这个词来自日语词汇“菓子(かし)”读作(kasi),意思是点心、糕点、糖果。
还有,红遍大江南北的东北词汇“杠杠的”,则是来自日语中“がんがん(ganngann)”。发音和意思都一样,都是“当当的”“锵锵”的意思,是通过拟声词,来表示“很厉害”的样子。
为什么会这样呢?因为啊,在日本帝国时代,有大量的日本军民,盘踞在东北。从1905年日俄战争之后,到1945年投降为止,时间长达40年。日本殖民者给东北带来大量的日语词汇,被东北人融进了东北的方言里面了。
/光明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