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SK텔레콤(코스피 017670, 유영상) 대표이사 이 유심(USIM) 해킹 사태로 '절대 1위' 자리를 위협받고 있다. 하루 만에 2만 5,403명의 가입자가 이탈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KT는 1만6570명, LG유플러스는 8833명의 순증을 기록하며 빠르게 SKT의 빈자리를 채우고 있다. 특히 이번 사태는 단순한 개인 가입자 이탈을 넘어, 금융권·공공기관·대기업까지 동시다발적으로 'SKT 탈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기업, 줄줄이 유심 교체 지시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그룹은 SKT를 이용하는 임원들에게 유심 교체를 지시하고, 사옥 내 컨시어지에서 자체 교체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현대차 고위 관계자는 "개인·업무용 회선을 모두 타 통신사로 옮겼다"며, 비즈니스 기밀 유출 우려를 강조했다. 삼성전자도 전 계열사 임원에게 SKT 유심을 교체하라는 지침을 내렸으며, 교체 완료 여부를 직접 점검하는 작업까지 진행했다. 네이버와 카카오 역시 임직원에게 유심 교체를 권장하는 공지를 발송했다. 포스코그룹, 한화그룹도 유심보호서비스 가입과 교체를 독려하고 있다. LG전자는 임원용 폰을 LG유플러스 회선으로 관리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올해 1분기 어닝 시즌을 앞두고 국내 통신 업종이 실적 개선 기대 속에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6G 상용화 기대와 5G Advanced 기술 확산 흐름이 맞물리며 중장기 성장성에 대한 시장의 긍정적 전망이 확대되고 있다. 하나증권이 발표한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통신 3사 모두 올해 1분기 영업이익 증가가 예상되며, 특히 KT(코스피 030200, 대표이사 김영섭)는 아파트 분양 이익 계상 효과로 실적 개선이 두드러질 것으로 분석된다. LG유플러스도 비용 부담 감소 효과가 더해지며 양호한 실적이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통신주는 전통적으로 1분기 실적에 기반해 연간 실적을 가늠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번 시즌을 기점으로 투자심리 회복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기술 측면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 SK텔레콤(코스피 017670, 대표이사 유영상)과 LG유플러스(코스피 032640, 대표이사 홍범식)는 최근 주주총회를 통해 인공지능(AI)과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네트워크에 접목시킨 요금제 개편 의지를 밝혔다. 이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5G Advanced 및 6G 요금제 상용화 기대가 커지고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다보링크(코스닥 340360)가 3월 20일(오늘) 전환사채(CB) 발행과 유형자산 양수를 결정했다. 총 158억 원 규모의 CB 발행과, 이 중 약 59억 원을 활용한 토지 매입을 통해 실질적 사업 확장에 나선 것이다. 이번 CB는 표면이자율 0%, 만기일 2028년 3월 26일로 설정됐으며, 전환가액은 1,694원, 전환 가능 주식 수는 938만 주, 전체 주식의 약 21.6%에 해당한다. 자금 용도는 ▲운영자금 100억 원(신제품 개발 및 원자재 확보) ▲토지 취득 자금 59억 원 등으로 구체적으로 제시됐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토지 거래 상대가 다보링크의 최대주주인 테라사이언스(59.8억 원 납입)라는 점이다. CB 납입대금을 부동산 양수 대금과 상계 처리함으로써 자금 조달과 자산 확보를 동시에 실현했다. 해당 토지는 울산 울주군 두서면 41만㎡ 규모로, 향후 신사업 추진의 핵심 거점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번 거래에 대해 삼도회계법인이 외부평가를 수행했으며, 평가 결과는 '적정'으로 판정돼 거래의 타당성과 공정성을 확보했다. 일반적으로 전환사채 발행은 주식가치 희석 우려를 동반하지만, 이번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