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권오연 기자 | 지역 중소기업들이 법규 위반, 환경오염, 인권침해 등 기업 경영에 악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을 미리 파악·관리하고, 대기업이나 정부·지자체 공급망에서 우선순위를 차지하기 위해 ESG 경영을 선제적으로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주시는 1일 사회혁신전주에서 기업·연구기관 전문가들과 전주시중소기업인연합회 소속 기업인, 공공기관 관계자들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여한 가운데 ‘제2차 ESG와 민관협력 정책 포럼’을 개최했다. 쏘셜공작소가 주관하고 전주상공회의소(회장 윤방섭)와 전주시중소기업인연합회(회장 임동욱)의 공동 후원으로 열린 이번 포럼은 지역 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ESG 경영 확산을 위한 실행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김민석 지속가능연구소장은 “ESG 실천은 ESG 항목을 공시하고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조직이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이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활동”이라며 “특정 주체만의 노력으로는 불가능하며 건강한 거버넌스를 바탕으로, 모든 주체가 내재화해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한성 KMA ESG경영센터장은 “법규 위반, 환경오염, 인권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양평호 기자 | 완주군 삼례읍(읍장 이희수)은 최근 위기가정의 문제해결을 위한 민관협력 통합사례회의를 개최하고 가정폭력과 정신건강 문제로 아동의 건강도 우려되는 위기가정 해결을 위해 나섰다. 복지사각지대 대상자로 발굴된 사례는 자살 고위험대상자의 치료와 더불어 아동보호가 시급한 상황으로 판단돼 장기적인 개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전북아동보호전문기관, 전북가정위탁지원센터, 완주군 정신건강복지센터, 완주군 교육아동복지과 드림스타트, 어린이집 등 5개 기관이 참석해 해결책을 심도있게 논의했다. 이희수 삼례읍장은 “앞으로도 복합적인 위기상황에 처한 복지사각지대 가구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민‧관 협력을 통한 통합사례회의를 활성화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