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Minjeong Seo, Student Reporter (SNSJTV / Daily Union)| As South Korean companies stall on ESG progress, students at SALT International School are taking matters into their own hands. ESG has become a fixture in corporate boardrooms, yet the gap between promises and practice continues to wide— especially in South Korea. But while corporations hesitate, A group of teenagers calling themselves ACTizens is proving that real change doesn’t always require big budgets or corporate mandates. Through hands-on projects, they are turning ESG from a buzzword into a daily routine. This article takes a t
By Aran Na, Student Reporter, SNSJTV / Daily UnionㅣWhile corporations argue about the costs of sustainability, South Korean teenagers are simply doing it. Now, a group of South Korean teenagers is challenging that view. The “SIA ACTizens” team from SALT International School is asking a pointed question: Is consistent action the real solution? Their campaign goes beyond a typical school project, directly targeting what they see as adults’ “greenwashing” habits. Globally, ESG has become a benchmark for corporate responsibility. Yet critics contend that it has struggled to live up to its promise.
By Seoyeon Park, Student Reporter (SNSJTV / Daily Union) | ESG, an essential element of sustainable management, has become a key element worldwide. However, in Korea, it's still largely perceived as a 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 or a government-led initiative. Despite increased public awareness, many domestic ESG efforts remain superficial, aimed at improving the company's image, rather than producing meaningful ESG performance. In contrast, global ESG activity is already central to determining both investment and corporate value. Institutional investors now consider non-financial pract
데일리연합 (SNSJTV) Trainee Reporter Seeun Park | In South Korea, companies publish glossy ESG reports while students roll up their sleeves to make real change. Global ratings agency MSCI recently gave Korea’s major firms an average ESG rating of “BBB,” below international standards. UNESCO’s 2023 report also showed that while more than half of OECD countries include ESG in youth education, Korea still lacks a systematic program. While corporations stalled, students at SALT International School decided to test ESG themselves. Their team, ACTizens, launched the RE:ESG project, a Youth ESG campaign b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기후 위기 대응의 핵심 수단으로 여겨져 온 자발적 탄소 상쇄(Voluntary Carbon Offsets) 시장이 그 실효성과 신뢰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면서 전례 없는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최근 저명한 기후 전문가들이 공동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까지 발행된 탄소 상쇄 크레딧 중 실제 배출량 감소를 나타내는 비율이 16%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충격적인 결과가 드러났습니다. 이 보고서는 특히 상쇄 시스템의 무결성을 보장해야 할 제3자 감사 제도가 구조적으로 취약하며, 오히려 프로젝트 개발자의 이해관계를 대변해 결함 있는 프로젝트를 승인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연구진은 "전체 상쇄 시스템은 약속한 바를 이행할 수 없는 토대 위에 세워져 있다"며, 감사인들이 사업 수주를 위해 개발자의 가정에 무비판적으로 동조할 유인이 크다고 비판했습니다. 산림 보존(REDD+) 프로젝트를 비롯해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탄소 크레딧은 여전히 '추가성(Additionality)' 원칙, 즉 해당 프로젝트가 없었다면 발생했을 배출량을 실제로 피했는지에 대한 입증에 실패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베라(Verra) 등록소의
By Jaehee Chung, Student Reporter (SNSJTV / Daily Union) = Where do all the plastic cups and packaging we throw away each day end up? South Korea is struggling with an escalating plastic waste crisis. In 2022 alone, the country generated 12.6 million tons of plastic waste. Globally, municipal solid waste reached 2.3 billion tons in 2023 and is projected to climb to 3.8 billion tons by 2050. The crisis is urgent, but solutions remain slow. In response, students at SALT International School launched Team SEED (Simple Eco EveryDay)—a youth-led environmental project built on the belief that “small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2030 탄소감축 목표 달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탄소감축 목표를 미달하는 기업들에 대한 녹색금융 지원 축소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탄소중립 정책 강화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금융권은 투자 결정에 있어 ESG 경영을 더욱 중요한 평가 지표로 활용하는 추세다. 최근 발표된 여러 보고서에 따르면, 상당수 기업들이 2030년까지의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기업들의 탄소 감축 노력 부족뿐 아니라, 예상치 못한 경제적 변수, 기술적 어려움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에너지 집약적인 산업 분야의 기업들은 목표 달성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은 녹색금융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기관들은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에 대한 기업들의 진정성과 실행력을 면밀히 검토하고, 투자 결정에 반영할 것으로 보인다. 목표 달성에 실패하거나, 감축 노력이 미흡한 기업들은 향후 녹색채권 발행이나 ESG 관련 대출 등의 녹색금융 지원을 받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n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탄소중립이 전 세계적 화두로 떠오르면서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정부는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통해 기업들의 탄소 감축을 유도하고 시장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지만, 여전히 개선해야 할 과제들이 존재한다. 현재 한국의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은 초기 단계에 있으며, 시장의 유동성 확보와 가격 안정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이다. 거래량이 부족하고 가격 변동성이 크다는 점은 시장 참여자들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키고 투자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정부는 시장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배출권 할당량 조정, 거래 제도 개선, 관련 인프라 구축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시장의 투명성을 제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탄소 감축에 대한 부담이 크고,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 참여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부는 중소기업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탄소 감축 기술 개발 및 보급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과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탄소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기업들이 ESG 경영 압박에 직면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투자자와 소비자들은 기업의 환경 책임을 더욱 엄격하게 평가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들의 ESG 경영 전략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2030년 또는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목표로 설정했지만, 실제 감축 속도는 목표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실은 기업의 신뢰도 저하로 이어져 주식 가치 하락, 투자 유치 어려움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특히, 금융권에서는 ESG 평가를 투자 결정의 중요한 지표로 활용하고 있어, 탄소 감축 목표 미달 기업에 대한 투자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도 주목할 만하다. 환경 친화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ESG 경영에 소홀한 기업들은 시장 경쟁력을 잃을 위험에 처해 있다. 소비자들은 기업의 탄소 배출량, 재활용 노력, 친환경 제품 개발 등을 꼼꼼히 따져보고 구매 결정을 내리기 때문에,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데일리연합 (SNSJTV) 서민정 기자교육생 | 기후변화와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하면서 ESG (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은 기업 생존의 핵심 요소로 떠올랐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한국은 ESG 투자 규모와 기업의 ESG 성과에서 선진국에 비해 뒤처져 있다. 특히 지배구조(G) 부문에서 낮은 점수를 받으면서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런 배경은 기업의 보여주기식 활동인 '그린워싱(Greenwashing)'이 만연해지면서, 국민 신뢰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대한민국 ESG의 민낯...말뿐인 약속들 현재 우리 사회는 ESG를 외치지만, 많은 부분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환경(E) 부문에서 기업 탄소 배출 감축을 목표로 삼고 있지만 속도는 더디다.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의 약 30%를 차지하는 가운데, 산업 현장의 감축 노력이 충분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회(S) 부문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많다. 한국 산업재해 사망률은 OECD 국가 중 높은 편이며, 성별 임금 격차는 OECD 평균의 약 두 배에 달한다고 고용노동부는 밝혔다. 이런 노동·안전 문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서 중요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기업들의 탄소 감축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넷제로 목표 달성을 위한 다양한 전략들이 시행되면서, ESG 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투자 유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은 파리협약 목표 달성을 위해 자발적인 탄소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재생에너지 투자, 에너지 효율 개선, 친환경 기술 개발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단순한 사회적 책임을 넘어,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와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탄소 배출량 감축에 성공한 기업들은 투자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ESG 투자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탄소 감축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실행하는 기업들은 투자자들의 선호를 받아 자금 조달에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기업들에게 탄소 감축 노력을 더욱 강화하도록 유도하는 긍정적인 외부 압력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모든 기업이 탄소 감축에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기업들은 탄소 감축 과정에서 기술적 어려움이나 경제적 부담
데일리연합 (SNSJTV) 나아란 기자교육생 ㅣ기업 전유물로 여겨지던 ESG (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청소년들이 도전장을 던졌다. SALT ‘SIA ACTizens’ 팀은 “학생들도 꾸준한 실천이 답이다?”라는 질문을 사회에 던졌다, 단순한 교내 ESG 캠페인을 넘어, 어른들의 그린워싱에 해당하는 사안을 꼬집었다. 최근 ESG는 기업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로 떠올랐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막대한 비용, 복잡한 절차, 단기 성과 압박 등으로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특히 ‘빨리빨리’ 문화 속에서 장기적 안목이 요구되는 ESG 경영은 늘 후순위로 밀려왔다. ACTizens 팀도 처음에는 타 학교 ESG 실천 현황을 조사·평가하려는 거대한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학생 신분의 한계에 부딪히며 프로젝트는 좌절됐다. 이 경험은 오히려 이들에게 “거창한 시작보다 현실적인 첫걸음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남겼다. 그 결과 선택한 것이 바로 ‘제로 푸드 웨이스트(Zero Food Waste)’였다. 한국의 연간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은 500만 톤을 넘어 처리 비용만 2조원에 달한다. ACTizens는 이 문제를 해결 대상으로 삼으
데일리연합 (SNSJTV) 김예린 기자 교육생 l 기후 위기, 미세먼지, 사회적 불평등은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니라 산업, 사회, 자연이 얽힌 구조적 위기를 보여준다. 청소년 ESG 통한 실천방안을 마련했다. 이는 단순한 기업 홍보가 아닌, 생활 방식과 미래 세대를 지키는 행동 기준이다. 그러나 현실은 산업과 정책이 충분히 기준을 채우고 있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다. 24년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 따르면, 한국 기업 70% 이상이 ESG를 발표하지만 실제 행동은 미비하고, 일부는 외형만 강조하는 그린워싱을 하고 있다. 산업, 사회, 자연은 긴밀히 연결돼 있다.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은 폭염, 홍수, 미세먼지 등 재난을 심화시키고, 피해는 사회적 약자가 먼저 짊어지는 짐이 크다는 입장이다. 2023년 한국 폭염으로 농촌과 취약계층 피해가 심각했고, 몽골 울란바토르에서는 겨울 난방으로 PM2.5 미세먼지 농도가 WHO 권고치보다 5~10배 높았다. 모두의 관심과 참여를 요하는 대목이기도하다 . SIA ACTizens은 2025년 SALT 국제학교 학생 6명, 몽골 학생 1명팀을 구성했다. 자원과 권한이 제한되어 있지만, 청소년 ESG를 실천하고, 동시에 시스템 구
데일리연합 (SNSJTV) 박서연 기자 교육생 | 최근 지속가능경영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은 ESG가 사회 전반 핵심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여전히 대기업 중심의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나 정부 주도 정책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다. 겉으로 보이는 활발함과 달리, 실제로는 기업의 이미지 개선을 위한 보여주기식 ESG 활동에 그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중 인지도는 높아졌지만, 이를 삶의 작은 실천으로 연결하는 사회적 분위기는 아직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다. 반면, 글로벌 시장 ESG 활동은 이미 투자와 기업 가치를 결정하는 핵심 척도로 자리 잡았다. 기관 투자자들은 비재무적 성과인 ESG 점수를 기업 분석에 필수적으로 활용하며, 소비자들 역시 친환경적이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브랜드를 선택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이러한 흐름은 기업들이 ESG 활동을 단순한 유행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으로 받아들이게 만들고 있다. SALT 국제학교 'ACTizen' 팀이 ESG 활동을 일상의 실천으로 옮긴 프로젝트를 선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이들은 ESG가 어떻게 하면 올바로, 더 많이 실천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해답을 자신들의 프로젝트로 풀어냈다. 'S
데일리연합 (SNSJTV) 정재희 기자교육생 = 매일 버려지는 플라스틱 컵과 포장재, 어디로 갈까? 한국은 매년 늘어나는 쓰레기와 씨름하고 있다. 2022년 플라스틱 폐기물만 1,260만 톤, 세계적으로도 도시 폐기물은 2023년 23억 톤에 달했고, 2050년에는 38억 톤에 이를 전망이다. 문제는 심각하지만 해결은 속도가 늦다. 이런 현실에 맞서 SALT 국제학교 11학년 학생들이 팀을 결성 주목받고 있다. 친환경적 행동을 일상 습관으로 만들기 위해 모인 학생들은 ‘Simple Eco EveryDay’라는 뜻을 담아 Team SEED를 결성했다. “작은 실천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든다”는 신념의 출발점이었다. 단순한 동아리가 아닌, 청소년 친환경 프로젝트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학생들은 이를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진행했다. 리사이클링 활동으로 올바른 분리배출을 돕는 가이드북을 제작하고, 걷기와 환경 보호를 결합한 플로깅 캠페인을 전개했다. 이어 업사이클링과 정크아트 활동에서 플라스틱 병뚜껑으로 키링을 만들고, 양말목으로 생활용품을 제작했다. 또 버려진 물건을 예술 작품으로 되살리는 정크아트 대회도 열어 창의적인 시각으로 환경 문제를 풀어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