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5.1℃
  • 맑음강릉 13.3℃
  • 맑음서울 8.7℃
  • 맑음인천 8.6℃
  • 맑음수원 6.4℃
  • 맑음청주 10.1℃
  • 맑음대전 8.5℃
  • 구름조금대구 8.9℃
  • 맑음전주 9.2℃
  • 구름조금울산 10.1℃
  • 맑음광주 11.2℃
  • 구름많음부산 13.6℃
  • 구름많음여수 14.2℃
  • 구름많음제주 16.3℃
  • 맑음천안 5.3℃
  • 구름조금경주시 7.4℃
  • 구름많음거제 11.0℃
기상청 제공

PR Newswire

파이론테크, 호주 법인 공식 출범…글로벌 에너지 저장 사업 본격 강화

시드니 2025년 11월 4일 /PRNewswire/ -- 에너지 저장 시스템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인 파이론테크(Pylon Technologies Co., Ltd., SSE: 688063)가 시드니에 호주 법인을 공식 설립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법인 설립은 글로벌 사업 확장 전략에서 중요한 진전을 의미하며, 호주 및 뉴질랜드 에너지 저장 시장에 대한 파이론테크의 장기적인 의지를 반영한다.


파이론테크 호주 법인 출범은 회사의 현지 운영 체계 완비를 시사한다. 이를 통해 회사는 현지화된 영업, 기술 서비스, 공급망 조정, 고객 지원 등을 통해 해당 지역의 파트너와 고객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제프리 송(Geoffrey Song) 파이론테크 부사장은 "호주는 전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에너지 저장 시장 중 하나이며, 10여 년 전 이곳에 첫 번째 시스템을 설치한 이래 시장의 성장 여정을 함께해 왔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 파이론테크 호주 법인 출범은 현지 파트너와의 긴밀한 협력, 신속한 서비스, 더욱 포괄적인 솔루션 제공을 통해 지역 사회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우리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호주는 야심 찬 국가 에너지 전환 목표에 힘입어 세계에서 가장 성숙하고 빠르게 성장하는 에너지 저장 시장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호주 정부는 2035년까지 2005년 수준 대비 배출량을 62~70% 감축한다는 목표를 세웠고, 가정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급을 촉진하는 '더 저렴한 가정용 배터리(Cheaper Home Batteries)'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국민의 청정에너지 전환 참여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파이론테크는 새로운 현지 법인이 본격적으로 가동됨에 따라, 주거용, 상업용, 유틸리티급 에너지 저장 솔루션 공급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호주가 깨끗하고 안정적이며 탄력적인 에너지 미래로 나아가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네드 유(Ned Yu) 파이론테크 호주 법인 총괄 책임자는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고객과의 거리를 단순히 지리적으로 좁히는 것을 넘어, 전략적으로 더 가까워지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이번 출범을 통해 보다 민첩하고 혁신적이며 신속한 시장 대응이 가능해졌다"라고 밝혔다.

이번 호주 법인 출범을 통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저장 솔루션을 통해 글로벌 에너지 전환을 촉진한다는 파이론테크의 핵심 사명을 다시 한번 재확인했다.


파이론테크 소개

파이론테크(Pylon Technologies Co., Ltd., SSE: 688063)는 2009년에 설립된 선도적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전문 기업으로, 전기화학, 전력전자, 시스템 통합 기술을 결합한 혁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까지 전 세계에 200만 개 이상의 시스템을 설치했으며, 기술 혁신성과 품질로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파이론테크의 제품 포트폴리오는 가정용, 상업용, 산업용, 대규모 그리드급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아우르며, 지속 가능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전환을 달성하려는 글로벌 파트너들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