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6.1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강원

속초시, 영랑호 벚꽃축제 빅데이터 분석 완료…데이터 행정 본격화

전년 대비 방문객 33.4% 증가, 소비액 7.7억 원 규모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이기삼 기자 | 속초시가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2025 영랑호 벚꽃축제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완료했다.

 

4월 12일부터 13일까지 이틀간 개최된 축제에는 전년 대비 33.4% 증가한 26,668명이 방문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이 중 외지인 방문객은 56.7% 수준인 15,113명으로 나타났다.

 

외지인 방문객 중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등 수도권 거주 비율이 약 70%를 차지했다.

 

축제장과 인근의 영랑동 지역에서 발생한 소비액은 7억 7,300만 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외지인이 소비한 금액은 전체 소비액의 86% 수준인 6억 6,50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지역 상권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외지인의 1인당 소비 단가는 40,675원으로, 상주인구 평균 소비 단가인 29,412원보다 높은 경제 효과를 창출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분석에는 KB 국민카드 데이터가 활용되어 실질적인 지역 소비 규모와 유입지, 연령·성별 소비 특성까지 세밀하게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속초시민에게 가장 중요한 지표인 ‘실질적 경제 효과’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 것이 큰 성과로 평가된다.

 

한편, 속초시는 KT의 빅데이터 플랫폼 ‘빅사이트(BigSight)’와 카드사 데이터를 융합·분석하여 전 부서가 실시간으로 관광객 유입, 체류시간, 상권 소비 행태 등 지역의 주요 현황을 과학적으로 진단하고 있다.

 

이는 과거 단순한 설문이나 외주 용역에 의존하던 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실질적 경제 흐름을 수치화하여 주민이 체감하는 행정으로 연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과거 일부 대형 행사나 고비용 사업에만 국한되던 분석이 기술 발전과 체계 구축을 바탕으로 일상적·반복적인 행정 전반으로 확대된다는 점에서 단순한 분석과 평가를 넘어 ‘상시 분석 기반 과학 행정’ 체계를 구축했다는 의의가 크다.

 

현재 속초시는 고려대 디지털혁신연구센터를 통해 20여 개 주요 사업에 대한 정밀 분석을 의뢰 및 수행 중이다.

 

이 분석 결과는 사업의 기획-운영-사후 평가 등 전 과정에 걸쳐 활용된다.

 

시에서는 이를 토대로 다양한 분야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정례화하고 과학적인 정책 설계를 추진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로 도출해 낸다는 방침이다.

 

이병선 속초시장은 “이번 분석은 단순한 축제 결과 평가를 넘어, 지역 경제 효과를 포함한 과학 기반 행정으로의 전환을 대표하는 사례”임을 강조하며, “앞으로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설계하는 등 속초형 데이터 행정 모델을 더욱 고도화하겠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제주도, 컨테이너 식물공장으로 기후위기 돌파한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영우 기자 | 제주특별자치도가 도내 유휴시설을 활용해 외부 환경 변화에 관계없이 고품질의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미래 신성장 스마트농업 육성에 본격 나선다. 제주도 농업기술원은 스마트농업 육성사업의 일환으로 올해 6월 42㎡ 규모의 컨테이너 식물공장 조성을 완료하고, 18일부터 기능성 작물인 고추냉이의 시범 재배를 시작했다. 최근 폭염, 한파 등 기후위기 가속화로 주요 소득작물의 안정적인 생산이 어려워짐에 따라, 기후변화 등 외부 환경 요인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농업모델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컨테이너 식물공장을 조성하게 됐다. 식물공장은 2열 3단 구조의 식물재배베드와 양액공급 자동화 시스템,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갖추고 있다. 특히 재생에너지 100%(RE100) 달성을 위한 탄소저감형 식물공장 모델 구축의 일환으로 9.525㎾ 용량의 태양광 발전설비도 함께 도입했다. 저온성 작물인 고추냉이를 식물공장에서 재배하면 쌈채용으로 연중 생산이 가능해지고, 일반 재배보다 뿌리줄기(근경) 생산 기간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nbs